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디지털 자아와 디지털정체성으로 분석한 한국 대중문화의 멀티 페르소나 현상

"디지털 자아와 디지털정체성으로 분석한 한국 대중문화의 멀티 페르소나 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20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1.01.20 최종저작일 2020.07
20P 미리보기
디지털 자아와 디지털정체성으로 분석한  한국 대중문화의 멀티 페르소나 현상
  • 미리보기

    소개

    "디지털 자아와 디지털정체성으로 분석한 한국 대중문화의 멀티 페르소나 현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아와 정체성, 디지털 자아와 디지털 정체성
    1. 자아와 정체성
    2. 디지털 컨버전스의 발달
    3. 디지털 자아와 디지털 정체성

    Ⅲ. 디지털 정체성 이론으로 분석한 한국 대중문화 사례
    1. 유재석
    2. 펭수
    3. 디지털 정체성 이론으로 분석한 유재석과 펭수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에게 있어 정체성은 자기 자신을 규정하여 타인과 구분 지으려는 시도이며, 역사적으로 인류는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이어왔다. 그리고 정체성의 핵심에는 ‘자기동일성’, 즉 불변한다는 개념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과거보다 다양한 혈통, 직업, 성 정체성 등이 존재하므로 한 인간이 훨씬 다양한 상황에 접하는 일이 많아졌다. 더 나아가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하며 인간의 삶은 혁신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제 우리는 가정, 직장, 또래 모임 등에서 각기 다른 모습을 내세울 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나 접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로 자신의 모습을 바꿀 수 있다.
    디지털 환경은 인류에게 새로운 개념의 디지털 정체성을 가져왔다. 가상공간에서 자아는 유동적이다. 사람들은 이제 자신의 자아를 플랫폼과 콘텐츠에 맞게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최근 세계에서 최고 수준의 ICT 기술 발전 을 이룬 대한민국에서는 대중문화에서 재미있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캐릭터’의 개념이 현실로 들어온 것이다. 음악, 방송 등의 분야에서 ‘본캐’와 ‘부캐’ 의 개념이 등장하고 더 나아가 캐릭터 자체를 실재 인물과 구분 짓고 또 다른 하나의 현실 인물로 받아들이는 현상이 일어났다. 대중들은 몰입하여 이 캐릭터 놀이를 함께 즐기며 실재 인물과 캐릭터를 연관하여 이야기하는 것을 거부하는 현상까지 일어나고 있다.
    위의 대중문화 현상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은 현대인의 정체성이 마치 다양하게 분리되는 것처럼느껴진다는 것이다. 해당 현상을 지칭할 적당한 말을 꺼내기 쉽지 않아 이 논문에서는 ‘멀티 페르소나’라는 용어를 가져오기로 한다. 김난도 등(2019: 197)은 멀티 페르소나를 설명하기 위해 사람들이 자기 상황에 맞는 여러 개의 가면을 그때그때 바꿔 쓰고 있다 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사람들이 바꿔 쓰는 이 복수의 가면을 멀티 페르소나라고 정의한다. 이는 구스타프 융의 페르소나 개념을 바탕으로 재정의한 것이며, 복잡하고 개인화된 다매체가 있는 현대사회에서 나온 주요한 현상으로 언급한다.

    참고자료

    · 조성은•한은영•장근영•김선희(2013). “초연결 사회에서 디지털 자아의 정체성 연구”. 《방송통신정책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 민경배•박수호(2009). “융합사회의 등장과 정체성 변화”. 문화경제연구, 12(2). pp195~222
    · 이성식(2009). “사이버공간에서의 자아와 청소년비행”.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3호. Pp229~249.
    · 이원태(2010). “트위터의 정치사회적 영향과 시사점”. 《KISDI Premium Report》.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p1-15
    · 김난도, 전미영, 최지혜, 이향은, 이준영 외 4명(2019). 《트렌드 2020 코리아》. 미래의 창.
    · 엘자 고다르(2018), 선영아 역. 《나는 셀피한다 고로 존재한다》. 지식의 날개.
    · “ICT 발전지수”, ITSTAT. 2020.07.20 검색
    · http://www.itstat.go.kr/stat.it?no=1485
    · ‘ICT’, 두산백과, 2020.07.18 검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342863&cid=40942&categoryId=32828
    · ‘디지털 컨버전스’, 두산백과, 2020.07.18 검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34481&cid=40942&categoryId=32828
    · ‘유비쿼터스’, 두산백과, 2020.07.18 검색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21666&cid=40942&categoryId=32851
    ·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 IT 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3436213&cid=42346&categoryId=42346
    · 김수영, 유산슬, ‘데뷔 29년’ 유재석의 신인상 꿈 이뤘다… “평생 받을 수 없을 거라 생각했는데”, 한국경제, 2019.12.30, 2020.07.20 검색
    · https://www.hankyung.com/entertainment/article/201912309816H
    · 김소연, ‘데뷔 99일차 신인 유산슬, 트로트 신예의 포부 “트렌드 따라가지 않을 것”’, 매일경제, 2019. 12. 19
    · https://www.mk.co.kr/star/hot-issues/view/2019/12/1066053/
    · “[놀면 뭐하니?] 대상은 받아봤지만 데뷔 후 처음 신인상 받은 유산슬! 20200104”, Youtube, 2020.01.04 업로드, 2020.07.21 검색
    · https://www.youtube.com/watch?v=8nJkxowQQIQ
    · 김순정, ‘국민 캐릭터 펭수, 그가 사랑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한국연예스포츠신문, 2020.07.13
    · http://www.koreaes.com/news/articleView.html?idxno=359030
    · 박용선, ‘영상 한 편에 5000만원? 폭발적 인기에 치솟는 ‘펭수; 몸값. 조선비즈. 2019,12,01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12/01/2019120100017.html
    · “[56회 백상] TV부문 교양 작품상 – 자이언트펭TV”, Youtube, 2020.06.09 업로드, 2020.07.21 검색
    · https://www.youtube.com/watch?v=LmWxQlqoX2s
    · 유지혜, ‘[인터뷰] EBS 이슬예나 PD “펭수 세계관 지키기 위해 초심 잃지 않겠다’, 동아일보, 2020,03.02 작성, 2020.07.21 검색
    · https://www.donga.com/news/Entertainment/article/all/20200301/99950555/5
    · 오현진, ‘사람과 펭수의 다른 점, 부캐릭터를 갈망하게 된 배경’, 포스트21, 2020.06.27 작성. 2020.07.21 검색
    · http://www.news-j.co.kr/news/articleView.html?idxno=79463
    · 김영은, ‘2019년 전국은 ‘펭앓이’… 펭수의 4가지 매력 포인트’, 한경비즈니스, 2019.12.09 작성, 2020.07.21 검색
    ·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19120901254000331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