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위영, 이상복 외5인, 『아동의 이해와 심리 행동치료 교육』 대구:대구대학교 출판부, 1995.
· 김광일, 『가정폭력』, 서울 :탐구당, 1989.
· 김민순 외 6인, 『여성복지론』, 서울 : 나남출판, 2000.
· 김병오, 『부끄러움과 폭력 』, 서울 : 한들출판, 2001.
· 김연(역), 『가정폭력과 학대』 서울:두란노, 2001.
· 박정란, 서홍란,『아동복지론』, 서울: 양서원, 2001.
· 안동현, 홍강의 “ 한국에서의 아동학대 현황”, 「정신건강연구소」, 제6집, 2000.
· 오경자외 3인,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중앙적성연구소, 1997.
· 이소희, 도미향, 김민정, 『그것은 아동학대예요』, 서울 : 동문사, 1997.
·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공저, 『가족치료 총론』, 서울 : 동인, 1999.
· 이화여대사회사업연구회(역),『가족학대, 가족폭력』, 서울 : 나남출판, 2001.
· 조흥식 외4인, 『가족복지학』, 서울 : 학지사, 2000.
· 조흥식 외4인, 『여성복지학』, 서울 : 학지사, 2000.
· 김은경, “가정폭력 범죄의 형사철차상 위기개입 방안의 연구”, 서울 : 형사정책연구원, 2001.
· 김재엽, “한국 가정폭력의 실태 및 원인분석과 통합적 치료모형개발에 관한 학제간 연구”, 서울: 연세대 사회과학연구소, 1999.
· 김혜영, “아동학대, 가정폭력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 임재현, “아동학대와 아동의 공격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8.
· 홍강의, “한국아동학대의 실태 및 후유증 연구”, 보건복지부, 2000.
· 광주아동학대 예방센터, 아동학대 후유증 자료집, 사회복지법인 한국복지재단, 2002.
· 김혜련, 이재연, “분노의 언어적 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 「아동학회지」, 5월호, 1994.
· 문화 관광부, 『가정폭력과 청소년』, 청소년보호 위원회, 1998.
· 법률구조법인 한국가정법률 상담소, “가정폭력 실태 및 의식조사”, 「월간 가정상담」2/4분기, 2000.
· 보건 복지부, 2001년도 전국 아동학대현황 보고서, 2002.
· “부부 불화, 이혼과 아동학대”, 「복지신문」, 9월, 제197호, 4면, 2000.
· 서울 시립동부 아동상담소, 동부아동상담소 10년 개소기념 사례 연구모음집, 1998.
· 서울시 아동학대 예방센터, 아동학대 사례 연구집, 2001.
· 신혜섭, “아내구타가정 아동의 행동문제에 관한 연구”,「사회복지연구」, 제16호, 2001.
· 이현기, 김형모, 방민석, “아동학대 예방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2001.
· 제3기 가정폭력전문 상담원 교육 교육집 , 잠실사회복지관, 2002.
· 조미숙, 이윤도, “아내구타 가정과 아동의 적응:연구논점과 과제”, 「한국가족복지학 」제3호, 1999.
· 「중앙일보」“겉도는 아동학대 방지장치”, , 11월14일, 42판, 2000.
· 최영, “정신과적 측면에서 본 아동학대 ”,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학교실 세미나, 2002.
· 한국부스러기 복지선교회, 사회복지사 중간활동 보고, 2001.
· 한국아동학대 예방협회, 제2회 아동학대 세미나 자료집, 2002.
· 한국 여성의 전화, 여성의 전화 상담 통계, 1995.
· 임구원.(2009).가정폭력 가해자 특성분석을 통한 폭력발생 영향요인 연구. 교정복지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