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투더본 신경성 식욕부진증 간호중재 진단 2개 과정 2개 계획 최대 10개
- 최초 등록일
- 2020.11.20
- 최종 저작일
- 2020.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영화 투더본 신경성 식욕부진증 간호중재 진단 2개 과정 2개 계획 최대 10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발취한 대중매체에 대한 간략한 줄거리 요약
2. 관련장애에 대한 진단기준, 원인, 치료, 주요간호 내용
1) 진단기준
2) 원인
3) 치료
4) 간호
3. 2개의 간호과정 작성, 간호계획 작성, 이에대한 분명한 rationale
본문내용
1. 발취한 대중매체에 대한 간략한 줄거리 요약
영화제목: 투더본(To the bone)
거식증을 치료하기 위해 여러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주인공 앨런은 항우울제도 살이 찐다는 두려움에 변기에 버리고, 거의 모든 식품의 칼로리를 외워 식사할 때마다 칼로리를 계산하여 최소한만 먹고, 음식을 삼키지않고 버리는 행동을 하며 주변의 걱정에도 불구하고 체중을 늘리지 않는다. 여러 의사에게 치료를 받았지만 상태가 좋아지지 않아 그녀는 윌리엄 베컴 박사를 통해 집단치료를 받게되어 여러 섭식장애를 가진 환자와 같이 지내게 된다. 앨런은 집단치료를 통해 서서히 음식을 섭취하기 시작하고 증세가 좋아지고 있는듯하나 집단치료를 같이하던 환자의 유산과 먹토의 흔적 등, 앨런 본인의 감정에 혼란이 겹침으로 치료를 다시 포기하려고 한다. 윌리엄 베컴 박사는 떠나는 그녀를 잡지 않고 그녀에게 다시 돌아와도 된다는 선택권을 주고 보낸다. 그곳을 떠난 앨런은 친엄마와의 진솔한 대화를 통해 감정을 추스르고 다시 치료를 하기로 마음먹는다.
2. 관련장애에 대한 진단기준, 원인, 치료, 주요간호 내용
1) 진단기준
(1) DSM-5 기준
a. 필요한 양에 비해 지나친 음식물 섭취 제한으로 연령, 성별, 발달과정 및 신체적인 건강 수준에 비해 현저하게 저체중을 유발하는 것(최소한의 정상 수준보다 체중이 덜나가는 것).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해당 발달단계에서 기대되는 최소한의 체중보다 체중이 적게 나가는 것,
b. 체중의 증가와 비만이 된다는 것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 혹은 체중 증가를 막기위한 지속적인 행동.
c. 기대되는 개인의 체중이나 체형을 경험하는 방식에 장애, 자기평가에서 체중과 체형에 대한 지나친 압박, 혹은 현재의 저체중에 대한 심각성 인식의 지속적 결여
- 제한형: 지난 3개월동안 폭식 혹은 (섭취한 것을) 제거하는 행동이 반복적이지 않음.
저체중의 원인이 주로 체중관리, 단식 및 과도한 운동
참고 자료
이미형 외 역, 정신건강간호학, 제 6판, 서울시, 현문사, 2019, 403p ~ 410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