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론적 배경
1) 용매추출의 기본 원리
2) 분배계수
3) 단순추출과 복합추출
4) 산-염기 적정
5) 용해도에 대한 염의 효과
6) 반응성 용매
2. 목적
3. 재료 및 방법
1) 시약
2) 기구
3) 방법
4. 결과 및 고찰
1) 아세트산 수용액에 존재하는 아세트산 몰농도
2) 단식추출과 복식추출
3) 고찰
본문내용
1) 용매추출의 기본 원리
· 추출 :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섞여 있는 혼합물 속에서 특정한 물질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여 성분을 분리해 내는 방법이다. 주로 액체상태의 용매를 사용하여 고체 또는 액체상태의 혼합물 속에서 어떤 특정한 성분만을 용해하여 분리하는 조작이다. 추출에는 크게 식물 등의 고체로부터 특정한 성분을 용해하는 용매를 사용해 추출하는 방법과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용매를 이용해서 각각의 용매에 대한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다. 추출의 종류에는 원료의 상태에 따라 고체- 액체 추출(침출)과 액체-액체 추출(추출)이 있다. (정광보, 서병수, 장승현, 임계규, 2000)
① 고체-액체 추출 : 원료가 고체인 경우를 말한다. 예로서, 잎이나 나무 껍질로부터 알칼로이드, 열매로부터 향료 추출물, 꽃으로부터 향수 농축액, 그리고 사탕수수로부터의 설탕 등이 있다. 이들 목적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로는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롬, 아세톤, 여러 가지 알코올 및 물이 있다. 실험에서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여 고체를 연속적으로 추출하는 기구의 일반적인 형태는 속슬렛(Soxhlet) 추출기이다. (CHARLES F.WILCOX JR, 1887)
② 액체-액체 추출 : 원료가 액체인 경우를 말한다. 분별 깔때기 안에서 한 용매 안에 녹아 있는 어떤 물질을 용액과 첫 번째 용매에 혼합되지 않는 다른 용매를 흔들어서 분리하는 데 이용된다. 이상적인 여건에서는 물질이 두 번째 용매 속으로 추출되고, 불순물은 남게 되어 두 층을 분리한 후,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물질을 유리시킨다.(CHARLES F.WILCOX JR, 1887)
2) 분배계수
두 섞이지 않는 용매에 부분적으로 용해하는 A물질인 경우 용매 1에 A를 용해한 후 용매 2와 섞으면 평형에 도달하게 되는데 이것의 평형상수는 k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