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원발성 알도스테론증(primary aldosteronism)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case study report 대학원

"원발성 알도스테론증(primary aldosteronism)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case study report 대학원"에 대한 내용입니다.
4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10.30 최종저작일 2017.11
41P 미리보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primary aldosteronism) 케이스 스터디 보고서, case study report 대학원
  • 미리보기

    목차

    Ⅰ. Subject Data
    1. Patient Profile
    2. 주호소
    3. 주호소 분석틀
    4. 과거력
    5. Social history
    6. Review of System(ROS)

    Ⅱ. Objective Data
    1. Physical exam
    2. Lab data
    3. Radiologic finding 등 diagnostic test dat

    Ⅲ. Assessment
    1. 주 ․ 객관적 자료의 해석과 통합
    2. 감별진단
    3. 예상되는 문제 포함(합병증, 결과 등등)

    Ⅳ. Plan
    1. 합리적인 치료/간호계획

    Ⅴ. Implementation

    Ⅵ. Evaluation
    1. 환자 문제 해결 여부

    Ⅶ.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전략

    본문내용

    상환 기저질환 없던 환자로 금년 9월 말 자리에서 앉았다 일어나는데 어려움이 있을 정도로 상하지 힘이 빠지며 약간의 근육통 동반되어 타원(원자력병원) 신경과 진료 후 응급실로 refer 되어 시행한 검사 상 initial K 1.8로 hypokalemia에 대하여 w/u 하기 위하여 입원하였으며, CPK elevation, myalgia 동반되어 r/o rhabdomyolysis, r/o hyperkalemic paralysis로 입원치료 받은 바 있음(9/25-10/2). 이후 K-contin 복용 중이며, 당시 검사 상에서는 이상소견 없어 원인을 알 수 없다고 들어 second opinion 위해 내원함.

    2. 주호소
    “팔, 다리에 힘이 빠져서 원자력 병원에서 입원치료 받고 괜찮아졌는데 원인을 알 수 없다고 해서 다시 검사 좀 받아보려고 왔어요.”

    3. 주호소 분석틀 - 증상이 나타났던 시점을 기준으로 사정함
    1) oneset(suddenly or gradually)
    이전에도 다리가 한번 힘들었다가 다음날 바로 풀린 적 있음. 9월 23일 저녁에 걷는 것은 괜찮았는데 갑자기 앉았다 일어나는 게 힘들어짐.

    2) location / radiation
    처음엔 다리에 힘이 빠져서 앉았다 일어나는 게 안 되고, 다음날 아침 침대에서 일어나는 게 안 되고, 그 다음엔 팔도 힘이 빠져 옷 갈아입는 게 힘들어짐.

    3) duration / frequency
    하루 이틀 쉬면 괜찮아질 것 같아서 기다려 보았으나 다리에 힘이 빠지고 팔까지 힘이 빠지면서 하루 반나절동안 증상이 점점 심해짐.

    4) characteristics
    움직임이 필요한 순간에 갑자기 팔, 다리에 힘이 빠지면서 힘을 주려해도 힘이 주어지지 않고 움직일 수 없음.

    5) aggravating / relieving factors
    오래 걷거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심해지는 경향이 있으며, 특별한 완화요인은 없음.

    6) associated factors
    간헐적으로 다리에 근육통 동반됨.

    참고자료

    · 김승현, 노학재. (2002). 신경-근 접합부 질환에서의 전기생리검사.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지, 4(2), 171-188.
    · 이동국. (1999). 신경전도검사의기초기술.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 1(2), 202-209.
    · 식품의약품안전처 www.mfds.go.kr
    · Dawson DM, Potts F. (1991). Acute nontraumatic myelopathies. Neurol Clin, 9(3), 585-603.
    · Fontaine B. (2008). Periodic paralysis. Adv Genet, 63, 3-23.
    · Holland OB, Brown H, Kuhnert L, Fairchild C, Risk M, Gomez-Sanchez CE. (1984). Further evaluation of saline infusion for the diagnosis of primary aldosteronism. Hypertension, 6(5), 717-723.
    · John W. Funder, Robert M. Carey, Franco Mantero, M. Hassan Murad, Martin Reincke, Hirotaka Shibata, Michael Stowasser, and William F. Young, Jr (2016). The Management of Primary Aldosteronism: Case Detection, Diagnosis, and Treatment: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101(5), 1889–1916.
    · Liu T, Nagami GT, Everett ML, Levine BS. (2005). Very low calorie diets and hypokalaemia: the importance of ammonium excretion. Nephrol Dial Transplant, 20(3), 642-646.
    · Massey JM. (1997). Acquired myasthenia gravis. Neurol Clin, 15(3), 577-595.
    · Mattsson C, Young WF Jr. (2006). Primary aldosteronism: diagnostic and treatment strategies. Nat Clin Pract Nephrol, 2(4), 198-208.
    · Patterson JR, Grabois M. (1986). Locked-in syndrome: a review of 139 cases. Stroke, 17(4), 758-764.
    · Ribstein J, Du Cailar G, Fesler P, Mimran A. (2005). Relative glomerular hyperfiltration in primary aldosteronism. J Am Soc Nephrol., 16(5), 1320-1325.
    · Rosow LK, Amato AA. (2016). The Role of Electrodiagnostic Testing, Imaging, and Muscle Biopsy in the Investigation of Muscle Disease. Continuum (Minneap Minn), 22(6), 1787-1802.
    · Sawka AM, Young WF, Thompson GB, Grant CS, Farley DR, Leibson C, van Heerden JA. (2001). Primary aldosteronism: factors associated with normalization of blood pressure after surgery. Ann Intern Med., 135(4), 258-261.
    · Sebastian A, McSherry E, Morris RC Jr . (2010). On the mechanism of renal potassium wasting in renal tubular acidosis associated with the Fanconi syndrome (type 2 RTA). J Clin Invest., 50(1), 231-243.
    · Serdar O., Selcuk Y., Lacin T., Yasemin G.,, Tayfun G., and Ali T. (2013). Hypokalemia- induced myopathy and massive creatine kinase elevation as first manifestation of Conn's syndrome. Niger Med J., 54(4), 283–284.
    · Stryjewski TP, Papakostas TD, Vavvas D. (2016). Proliferative Hypertensive Retinopathy. JAMA Ophthalmol, 134(3), 345-346.
    · Stowasser M, Sharman J, Leano R, Gordon RD, Ward G, Cowley D, Marwick TH. (2005). Evidence for abnormal left ventricular structure and function in normotensive individuals with familial hyperaldosteronism type I. J Clin Endocrinol Metab., 90(9), 5070-5076.
    · Weisbrod AB, Webb RC, Mathur A, Barak S, Abraham SB, Nilubol N, Quezado M, Stratakis CA, Kebebew E. Adrenal histologic findings show no difference in clinical presentation and outcome in primary hyperaldosteronism. Ann Surg Oncol., 20(3), 753-758.
    · Willison HJ, Jacobs BC, van Doorn PA. (2016). Guillain-Barrésyndrome. Lancet, 388(1), 717-727.
    · Young WF (2007). Primary aldosteronism: renaissance of a syndrome. Clin Endocrinol (Oxf), 66(5), 607-61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