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내의 PLA(Poly(lactic acid)) 소재 제품들과 연구

"국내의 PLA(Poly(lactic acid)) 소재 제품들과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10.14 최종저작일 2020.06
9P 미리보기
국내의 PLA(Poly(lactic acid)) 소재 제품들과 연구
  • 미리보기

    소개

    "국내의 PLA(Poly(lactic acid)) 소재 제품들과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이 쓰이지 않는 곳은 찾아보기가 힘들다. 과제를 하기 위해 집 근처 카페에서 커피를 마실 때도 플라스틱 컵이 사용되고, 배가 고파서 배달 음식을 시켜 먹을 때도 배달 음식이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서 배달된다. 백화점이나 마트, 편의점에서 물건을 구입할 때도 대부분의 물품들이 플라스틱 필름에 포장이 된 상태로 판매되고 있다. 거의 대부분의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이 사용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플라스틱은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플라스틱은 여러 가지 분야에서 사용하기에 편리한 좋은 소재이다. 하지만 플라스틱을 다 쓰고 나면 어떨까? 재활용을 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겠지만 대부분 한 번 쓰고 버리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버린 플라스틱이 스스로 잘 썩는다면 문제 될 것이 없겠지만 문제는 플라스틱이 잘 썩지 않고, 썩는 데에 엄청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문제나 오염 문제, 낭비에 관한 문제들이 계속해서 생겨나는 것이다. 아무리 플라스틱 재활용을 꾸준히 실천한다고 하더라도, 언젠가는 더 이상 사용하지 못할 정도가 되어서 버려야 할 경우가 생길 것이다. 그렇다면 재활용 이외의 방법으로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을까? 바로 썩는 플라스틱 소재를 만드는 것이 해결 방법이 될 수 있다. 즉, 생분해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를 만드는 것인데, 생분해성을 가진 플라스틱 소재들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PLA(Polylactic acid)이다. PLA는 Lactic acid의 중합체로써, 천연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물에 의한 가수 분해로 인해 저분자로 된 다음 미생물에 의해서 분해된다. PLA의 원료인 Lactic acid 는 식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설탕이나 전분을 발효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으며, 환경 친화적 발효법에 의해 L-Lactic acid를 99.5% 정도의 순도로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이를 탈수 축합하여 최종으로 PLA 합성이 가능하다[1]. PLA는 투명하며 강도가 높고 녹는점 Tm은 170℃, 유리 전이 온도 Tg는 59℃의 열가소성 수지로 압출/사출 등의 다양한 가공이 가능하다.

    참고자료

    · Moon. J, Kim. M. H, Lee. Y. T, Lee. H. H, and Rho. Y. H, "Study on the Biodegradable ability of Biodegradable Plastics PLA(Polylactic acid) by compost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4, pp.597-598 (2016).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1616553237927&oCn=JAKO201616553237927&pageCode=PG04&journal=NJOU00294921
    · 한정우, 허필호, 생분해성 고분자 소재 연구 및 선진 연구개발 동향, KEIT PD Issue Report, vol. 19, no. 5, pp.90 (2019). https://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e6nR1dpsAA4J:https://www.bioin.or.kr/InnoDS/data/upload/tech/9cf39f21dfe1408da5b7a24b003945b4.pdf+&cd=6&hl=ko&ct=clnk&gl=kr
    · Rafael Auras, Loong-Tak Lim, Susan E. M. Selke, and Hideto Tsuji, eds. (2010). Poly(Lactic Acid): Synthesis, Structures, Properties, Processing, and Applications, Wiley.
    ·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book/10.1002/9780470649848
    · 김지선, "바이오플라스틱 제품 개발 동향 및 물성 DB 분석", 화학소재정보은행 심층보고서, 한국화학연구원, 2017.
    · http://www.biopack.kr/info/revol_download.php?id=bp51&no=467&filenum=1
    · You. Y. S, Oh. Y. S, Hong. S. H, and Choi. S. W, "International Trends in Development, Commercialization and Market of Bio-Plastics", CLEAN TECHNOLOGY, vol. 21, no. 3, pp.145-146 (2015).
    ·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1536552966414&oCn=JAKO201536552966414&pageCode=PG04&journal=NJOU00294609
    · Lee. K. D, Kim. J. K, Lee. K. D, Zun. H, Kim. C. G, and Yoon. K. B, "Study on the biodegradable PLA sheet with multiple functionalitie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 vol. 5, no. 1, pp.341-346 (2019).
    ·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1912937048343&oCn=JAKO201912937048343&pageCode=PG04&journal=NJOU00565478
    · Jung. J. W, Kim. S. H, Kim. S. H, Park. J. K, and Lee. W,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properties of PLA composites for automotive interior par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vol. 24, no. 3, pp.1-5 (2011).
    ·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1122262522460&oCn=JAKO201122262522460&pageCode=PG04&journal=NJOU00291325
    · Shin. Y. J, Yoon. H. J, Lee. E. J, and Chung. W. Y,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PLA Bio-composites for 3D Printer Filament",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46 no. 1, pp.107-112 (2018).
    ·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1808962643461&oCn=JAKO201808962643461&pageCode=PG04&journal=NJOU00290440
    · Hwang. J. Y, Kim. H. J, Park. N. H, H. H, Park. C. K, and Yoon. J. W, "Fabrication of PLA/TiO2 nanofibers using melt-electro-spinning",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ol. 21, no. 3, pp.124-128 (2011).
    ·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1123457286170&oCn=JAKO201123457286170&pageCode=PG04&journal=NJOU00291306
    · Song. M. S, Yoon. C. S, and Ji. D. S,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LA/Chitosan Nanofibers by Electrospinning",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pp.263-264 (2003).
    ·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CFKO&cn=CFKO200311922563584&oCn=NPAP08073424&pageCode=PG04&journal=NPRO00289287
    · Kang. G. S, Kim. B. S, and Shin, B. Y,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LA Nano-composite Modified by Reactive Extrusion", CLEAN TECHNOLOGY, vol. 15, no. 2, pp.102-107 (2009).
    ·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0926158875820&oCn=JAKO200926158875820&pageCode=PG04&journal=NJOU00294609
    · Kang. G. S, Kim. B. S, and Shin, B. Y, "Rheolog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LA Nano-composite Modified by Reactive Extrusion", CLEAN TECHNOLOGY, vol. 15, no. 2, pp.102-107 (2009).
    ·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JAKO&cn=JAKO200926158875820&oCn=JAKO200926158875820&pageCode=PG04&journal=NJOU00294609
    · Kim. M. K, Jang. S. Y, and Choi. H. S, "Reconstruction of Orbital Medial Wall Fracture with Absorbable and Non-Absorbable Orbital Implant: Comparative Study", J Korean Ophthalmol Soc, vol. 55, no. 5, pp.640-645 (2014).
    · http://210.101.116.61/14811668/files/assets/basic-html/index.html#1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