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나침반 동양과 서양

나침반에 대한 역사, 항해술 그리고 동양과 서양의 연결고리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09.24 최종저작일 2020.06
9P 미리보기
나침반 동양과 서양
  • 미리보기

    소개

    나침반에 대한 역사, 항해술 그리고 동양과 서양의 연결고리

    목차

    I. 나침반의 역사
    II. 공포와 죽음의 상징, 바다
    III. 항해술
    IV. 나침반의 전파
    V. 대항해시대

    본문내용

    1. 나침반의 역사

    황제 헌원이 치우와의 결전 때 이걸 이용해 안개 술법을 깼다는 것이 중국 신화에서의 나침반의 기원이다. 그런데 이 지남차는 자석을 쓰지 않은 단순한 기계장치의 응용이라는 설도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는 자석을 사용하지 않고 순수하게 기계장치에만 의존하는 지남차도 만들어졌다. 이는 수레가 방향을 바꿀 때 정확하게 가리키는 방향을 바꾸도록 해서 언제나 같은 방향만들 가리키도록 하는 것, 물론 상당한 후대의 작품이다. 중국 전한의 유안이 쓰도록 명한 회남자에서 지금의 표기인 자석(磁石)이 아니라 慈石으로 기록되어있으며, 후한의 사상가인 왕충이 저술한 논형에 따르면 중국 고대의 나침반인 사남에 대해서 기록한 것으로 자석인침과 사남의 국자가 있다.

    1) 자기에 대한 최초의 중국 문서는 기원전 4세기 ‘왕 슈’의 문헌이다. “천연자석은 철을 끌어당긴다. 이 책은 청주의 사람들이 그들의 위치를 “남쪽 바늘”을 이용하여 알 수 있었다고 한다.

    2) 천연자석으로 짐작되는 숟가락에 대한 첫 번째 언급은 중국의 후한 때에 ‘왕 충’이 지은 논형에서 서기 70 80년대에 진행했던 동위선상의 지점을 표시하는 작업에 관련되어 있었다. 정확히는 “하지만 남쪽 지시 숟가락이 땅 위에 올려져 있으면, 안정된 지점으로 남쪽을 가리킨다.”라고 언급되어있다. 본문에 따르면, 저자 ‘왕 충’ 숟가락은 개인적인 관찰에 의한 현상으로 설명한다.

    3) 중국 문헌에 나침반에 대해 자세히 언급한 기록은 11세기 송나라의 과학자 ‘심괄’의 몽계필담에서도 볼 수 있다.

    “방사(方士)는 자석으로 바늘을 문질러서 그것을 남쪽을 향하게 만든다. 하지만 그것은 언제나 약간 동쪽으로 기울어 정확한 남쪽을 향하지는 않는다. 그것을 물 위에 띄워두면 불안정한 것이 흠이다.
    손톱 위에나 그릇의 가장자리 위에 놓으면 잘 돌아가기는 하지만 금방 밑으로 떨어져 버리기 쉽다.

    참고자료

    · http://www.gutenberg.org/cache/epub/7209/pg7209.html
    · Needham p. 190
    · Li Shu-hua, p. 182f.
    · 沈括, 夢溪筆談, 최병규 역(2002), 몽계필담 하, 범우사, p.145; 원문은 水運技術詞典編輯委員會 (1980), p.10; 王振鐸 (1978), p.54; 孫光所 (1989), p.438 참조.
    · “先王立司南以幾朝夕”. 韩非子卷钢二 有度第六、臺灣中華書局, 中華民國 71年, 五面,
    · “司南之构 投之于地 其抵指南; 王充 纂集,論衡, 「是應篇」,上海 :涵芬楼商務印書館 ], 民國18(1929),
    · 孫光坊(1991), p.123.
    · Gábor Horváth; 외. (2011). “On the trail of Vikings with polarized skylight”.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 孫光坊(1989), pp.438,439.
    · 中國航海學會(1988), p.126
    · 王振鐸(1978), p.56.
    · 王振鐸(1978), p.55; 中國航海學會(1988), p.126
    · 中國航海學會(1988), p.127.
    · “風雨冥晦時, 惟應針盤而行, 乃火長掌之”; J. Needham & Wang Ling,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4 Part 1 Physics, 海野 一隆 3人譯(1979), 中國の科學と文明, 東京 ;思索社, 제7권, p.336.
    · 劉明金(2002. 8), “沒有指南針就只能靠岸行船嗎?,” 島嶼文化, 제20집,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 王振鐸(1978),p.56; 孫光折(1991), p.123; 汉江(1989), p.145;席龍飛2000), p.136;王冠偉2000),p.150: 水運技術詞典編輯委員會1980), p.10;航運史話編寫組(1978), p.104; 中國航海學會(1988), p.126.
    · “自溫州開洋, 行丁未針,歷閱廣海外諸洲港口, 過七洲洋,經交趾洋到占城, 又自占城順風可, 半月到真滿,乃其境也, 又自真流行坤申針, 過見食洋入港”; 周達觀 撰, 真臘風土記,總樓,台北: 廣文書局有限公社 中華民國五十八年 3面
    · “惟憑針路定向行船, 仰觀天像以下明晦”; 王振鐸(1978), p.57
    · “皆斷木為盤, 書刻干支之字, 浮針于水, 指向行舟”; 王振鐸(1978), p.57
    · 王振鐸(1978), p.59.
    · cited by Hewson(1983), p.48 & Collinder(1954), p.103
    · Schmidl(1997-1998), p.98 footnoote, 43 & p.99 footnote 46.
    · May(1973), p.52; Colinder(1954), p.105; Encyclopaedia of Britannica(1988), Vol. 3, p.503.
    · Lane(1963), p.60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