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WTO와 FTA의 정당성
세계무역질서는 지역주의와 세계주의가 상호·병존하면서 유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GATT/WTO의 진전은 세계주의를 의미하는 것이며, EU, NAFTA, APEC 등의 진전은 지역주의를 표방하는 경제협력체라고 할 수 있다. 그 동안 GATT는 세계통상질서를 주도하여 왔으나, 냉전체제가 종식됨에 따라 1980년대 말부터는 특정 지역 또는 상호간의 이해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협력체, 즉 지역주의가 등장하게 되었다.
우선 지역주의의 태동은 1957년 EEC설립을 위한 로마조약이 조인되었을 때부터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 견해이다. 이러한 지역주의는 두 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확산되기 시작하여 2001년까지 GATT/WTO에 통보된 지역무역협정이 무려 220여개에 이르고 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만도 108개의 지역협정이 생겨났다. 이러한 지역주의의 확산추세는 향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그 이유는 지역무역협정 자체가 가지는 확산효과, 지역무역협정에 대하여 느슨한 다자규범체제의 문제, 지역무역협정이 갖는 여러 가지 장점 등을 들 수 있다.
GATT/WTO 제1조는 무조건의 최혜국대우(MFN: Most Favoured Nations)원칙을 규정함으로써 모든 국가에 대하여 동등한 자유화조치를 적용하도록 천명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EU나 NAFTA 등의 지역통합은 역내국에 적용한 자유화의 조치를 역외국에 대해서는 적용시키지 않고 있다.
· 권영민, 「동북아 지역경제권 형성과 기업간 협력방안」, 한국경제연구원, 2002.
· 김도형, "한일 FTA관련 주요 쟁점논의 배경", 「2002 한·중·일 FTA 남경 국제통상정책포럼 및 국제학술대회」, 한국국제통상학회, 2002. 7.
· 김양희·김종걸, 「한·일자유무역협정이 외국인투자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 Cao, Shi Gong,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의 합작의 신속한 발전과 중국의 대응", 「2002 한·중·일 FTA 남경 국제통상정책포럼 및 국제학술대회」, 한국국제통상학회, 2002. 7.
· Okuda, Satoru, "일한 자유무역협정에 관한 소고", 「2002 한·중·일 FTA 남경 국제통상정책포럼 및 국제학술대회」, 한국국제통상학회, 2002. 7.
· 이경태, 「이제는 FTA, 자유무역협정의 시대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11.
· 이경훈, "동북아 FTA 필요성과 한중기업간 협력", 「2002 한·중·일 FTA 남경 국제통상정책포럼 및 국제학술대회」, 한국국제통상학회, 2002. 7.
· 정인교, "한·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전략적 중요성", 「WTO도하 개발 아젠다이후의 관세·무역정책방향과 FTA전망」, 한국관세학회, 2002.
· , 「FTA시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 , 「한·일FTA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 , 「중국 WTO가입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 한주섭·홍성규, "APEC의 특성과 세계무역체제", 「국제무역연구논총」, 제3권, 국제무역연구소, 1996.
· 한국무역협회, 「월간무역」, 2000.8.
· 국지 노, 「APEC: 아지아태평양신질서の모색」, 일본국제문제연구소, 1999.
· 겸광수랑, 「국제경제정책―사미시토 보호주의 갓토の세계―」, 동양경제신보사, 1991.
· 백석 효, 「구로-바리즈무と리-죠나리즈무」, 경초서방, 1995.
· 아부일지·포전수차랑, 「중국のWTO가맹と일중한무역の장래」, 일본경제평론사, 2002.
· Bhagwati, Jagdish, "Regionalism and multilateralism: an overview," in Ross Garnaut & Peter Drysdale, Asia Pacific Regionalism: Readings in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Harper Educational Publishers, 1994.
· Ji-Young, Jeong, "Economic Effects of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Options for Korea," JOURNAL OF KOREA TRADE, Vol.4, No.1., 2000.
· Krugman, Paul, "Regionalism versus multilateralism: analytical notes," in Ross Garnaut & Peter Drysdale, Asia Pacific Regionalism: Readings in International Economic Relations, Harper Educational Publishers, 1994.
· Sungjoon Cho, "Breaking the Barrier Between Regionalism and Multilateralism: A New Perspective on Trade Regionalism," Harvard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42, No.2., Summer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