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Quorum sensing에 관한 보고서

미생물학 중 quorum sensing(정족수인식)에 관한 보고서
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0.09.11 최종저작일 2020.04
5P 미리보기
Quorum sensing에 관한 보고서
  • 미리보기

    소개

    미생물학 중 quorum sensing(정족수인식)에 관한 보고서

    목차

    1. 서론
    2. AI-1, AI-3 : 그람 음성균의 QS
    3. AI-2, AIP : 공통형, 그람 양성균의 QS
    4. Quorum Sensing의 활용
    5. 결론

    본문내용

    세균은 단세포 생물로, 지금까지 매우 기본적인 생체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다세포 생물에서 세포 간 상호작용이 일어나듯 세균 간에도 서로를 인식하고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을 Quorum Sensing(QS), 또는 정족수 인식이라고 한다. (Fuqua et al., 1994) 세균은 자가유도물질(Autoinducer, AI)이라는 화학적 신호전달물질을 분비한다. 이 물질을 감지하고 특정 농도 이상이 되면 군집 내 세균이 유전체 발현을 함께 조율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세균들은 biofilm을 형성하거나 병원성 유전자 발현하고, 발광, 운동성 등 다양한 활동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Williams, 2007)
    AI는 quorum sensing의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 신호물질을 인식함으로써 상호작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AI는 저분자 화학물질로, 세포막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매우 적은 농도로도 특정 유전자들의 조절이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참고자료

    · 김상윤, 권오석. 2014. 박테리아 쿼럼센싱 시스템의 합성생물학적 응용, KAIST bio design, 열린마당, 연구동향.
    · 이나리. 2013. 미생물의 쿼럼센싱과 식품안전. 식품과학과 산업, 46, 2: 48-57.
    · 이미애, 이규호. 2005. 개체군 밀도 인식을 통한 세균의 상호 신호전달 과정의 특징, J. Environ. Sci. Eng. 7: 19-27
    · 이정기 외. 2009. Quorum sensing 신호물질 분해효소의 기능 및 개량 연구와 이를 이용한 작물 세균병 방제 기술 개발,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 Bassler BL. 2002. Small talk. Cell-to-cell communication in bacteria. Cell 109:421-424.
    · Clarke, M. B., D. T. Hughes, C. Zhu, E. C. Boedeker and V. Sperandio. 2006. QseC sensor kinase: a bacterial adrenergic receptor. Proc. Natl. Acad. Sci. USA 103: 10420-10425
    · Dong. YH., XF Zhang, JL Xu, and LH Zhang. 2004. Insecticidal Bacillus antagonism, signal interference Appl. Environ. Microbiol 70: 954-960.
    · Fuqua, W.C., S.C. Winans, and E.P. Greenberg. 1994. Quorum sensing in bacteria: the LuxR-LuxI family of cell density-responsive transcriptional regulators. J. Bacteriol. 176: 269-275.
    · Gov Y, Borovok I, Korem M, Singh VK, Jayaswal RK, Wilkinson BJ, Rich SM, Balaban N. 2004. Quorum sensing in staphylococci is regulated via phosphorylation of three conserved histidine residues. J Biol Chem 279:14665-14672.
    · Kjelleberg, S. and S Molin. 2002. Is there a role for quorum sensing signals in bacterial biofilms Curr. Opin. Microbiol. 5: 254-258.
    · Kai Papenfort, Bonnie Lynn Bassler, 2016. Quorum sensing signal-response systems in Gram-negative bacteria. Nature Reviews Microbiology 14: 576-588
    · Pesci, E.C., J.B. Milbank, J.P. Pearson, S. McKnight, A.S. Kende, E.P. Greenberg, and B.H. Iglewski. 1999. Quinolone signaling in the cell-to-cell communication system of Pseudomonas aeruginosa. Proc. Natl. Acad. Sci. USA, 96: 11229-11234.
    · Saeidi N, Wong CK, Lo TM, Nguyen HX, Ling H, Leong SSJ, Poh CL, Chang MW. 2011. Engineering microbes to sense and eradicate Pseudomonas aeruginosa , a human pathogen. Mol Syst Biol 7:521.
    · Schaefer, A.L., D.L. Val, B.L. Hanzelka, J.E. Cronan, Jr., and E.P. Greenberg. 1996. Generation of cell-to-cell signals in quorum sensing: acyl homoserine lactone synthase activity of a purified Vibrio fischeri LuxI protein. Proc. Natl. Acad. Sci. USA, 93: 9505-9509.
    · Sperandio, V., A. G. Torres, B. Jarvis, J. P. Nataro and J. B. Kaper. 2003. Bacteria host communication: The language of hormones. Proc. Natl. Acad. Sci. USA 100:8951-8956
    · Thomas B. Rasmussen, Michael Givskov. 2006. Quorum-sensing inhibitors as anti-pathogenic drugs,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296: 149-161
    · Walters M, Sperandio V. 2006. Autoinducer 3 and epinephrine signaling in the kinetics of locus of enterocyte effacement gene expression in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 Infect Immun 74:5445-5455.
    · Waters, M. and V. Sperandio. 2006. Quorum sensing in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Int. J. Med. Microbiol. 296:125131
    · Williams P. 2007. Quorum sensing, communication and cross-kingdom signalling in the bacterial world. Microbiology 153:3923–393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