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A+ 레포트 자료 이모진 킹(Imogene M.king)의 개념체계와 중범위 목표달성이론

"A+ 레포트 자료 이모진 킹(Imogene M.king)의 개념체계와 중범위 목표달성이론"에 대한 내용입니다.
24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0.09.03 최종저작일 2020.05
24P 미리보기
A+ 레포트 자료 이모진 킹(Imogene M.king)의 개념체계와 중범위 목표달성이론
  • 미리보기

    목차

    1. 이론의 배경
    1) 이론가 소개
    2) 저서
    3) 이론의 기원

    2. 킹의 개념체계(Conceptual System)
    1) 역동적 개념 체계
    2) 세 가지 체계 설명

    3. 킹의 중범위 목표달성 이론(Middle-Range Theory of Goal Attainment)
    1) 교류작용 모델
    2) 가설과 명제
    3) 주요 가정

    4. 간호학계의 수용
    1) 실무 측면
    2) 교육 측면
    3) 연구 측면

    5. 이론의 평가 및 전망
    1) 이론의 평가
    2) 이론의 전망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이론의 배경

    1) 이론가 소개
    1923년 아이오와주 웨스트 포인드에서 태여났다.
    1945년 미주리주 세인트 루이스에 있는 세인트 존 병원의 간호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간호사 자격증을 받았다.
    1948년 세인트 루이스대학교에서 간호교육학 학사학위를 받았다.
    1957년 세인트 루이스대학교에서 간호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1947~1958년 세인트 존 병원 간호학과의 내외과간호학 강사와 부 부서장을 역임하였다.
    1961년 뉴욕 콜럼비아대학교 교육대학에서 Mildred Montag 교수 지도하에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4년 간호이론가 Martha Rogers가 편집하는 Nursing Science에 킹의 첫 번째 이론 논문이 실렸다.
    1961~1966년 시카고 로욜라대학교 간호학과의 부교수였으며 재직기간 동안 간호 개념틀을 기본으로 하는 간호학 석사과정을 개설하였다.
    1968~1972년 콜럼버스의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의 간호학과장으로 재직하였다. 오하이오 주립대학교에 있는 동안 “Toward a Theory for Nursing: General Concept of Human Behavior” 저서를 발간하였다.
    1972년 시카고 로욜라대학교의 대학원 교수로 돌아왔다.
    1978~1980년 로욜라 의학센터에서 간호부의 임상간호연구 코디네이터로 근무하였다.
    1980년 남일리노이대학교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수여하였다.
    1998년 킹의 “Nursing Collection”이 소장된 로욜라대학교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다.
    1980년 플로리다주 탬파로 이주하여 남플로리다대학교 간호학과 교수로 근무하였다.
    1981년 집필한 두 번째 저서 “A Theory for Nursing: Systems, Concepts, Process”를 출간하였다.
    1986년 세 번째 저서인 “Curriculum and Instruction in Nursing: Concept and Process”를 출간하였다.

    참고자료

    · Martha Raile Alligood. Nursing Theorists and Their Work. 9th Ed. Elsevier; 2018.
    · 이소우, 김주현, 이병숙, 정면숙, 유미, 이동숙, 장선주, 한달롱. 간호이론의 이해. 3판. 서울:수문사; 2017.
    · 박봄미, 유호신, 권경은, 이춘영. 요양병원 낙상 고위험 노인 환자를 위한 King의 목표달성이론 기반 낙상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J Korean Acad Nurs. 2019 Apr;49(2): 203 - 214.
    · 정인주, 김수진. 정서 · 행동 관심군 중학생 대상 목표달성이론을 적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J Korean Acad Nurs. 2017 Apr;47(2): 199 - 210.
    · 이종경. King의 이론. J. of Nursing Query. 2006 Feb;14(2):87-105.
    · Brown, S. T., & Lee, B. T. Imogene King’s conceptual framework: A proposed model for continuing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80;5(5): 467–473.
    · Costa, M., Santos, M., Martinho, N., Barroso, M., & Vieira, N. Family at-risk situation: model of care emphasizing health education [Portuguese]. Revista Gaucha De Enfermagem. 2007;28(1): 45–51.
    · Elberson, K. Applying King’s model to nursing administration. In Henry, B., DiVicenti, M., Arndt, C., & Marriner, A. (Eds.), Dimensions of nursing administration: Theory, research, education and practice; 1989. 47–53.
    · Gulitz, E., & King, I. King’s general system model: Application to curriculum development. Nursing Science Quarterly. 1988;3(2): 128–132.
    · Jolly, M. L., & Winker, C. K. Theory of goal attainment in the context of organizational structure. In M. A. Frey & C. L. Sieloff (Eds.), Advancing King’s systems framework and theory of nursing; 1995. 305–316.
    · Khowaja, D. Utilization of King’s interacting systems framework and theory of goal attainment with new multidisciplinary model: Clinical pathway.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24(2): 44–50.
    · Killeen, M. B., & King, I. M. Use of King’s conceptual system, nursing informatics, and nursing classification systems for global commun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s. 2007;18(2): 51–57p.
    · Lane-Tillerson, C., Davis, B. L., Killion, C. M., & Baker, S. Evaluating nursing outcomes: A mixed-methods approach. Journal of National Black Nurses Association. 2005;16(2). 20–26.
    · Messmer, P. R., & Cooper, C. Symposium: Pediatric falls based on King’s theory of goal attainment. King’s Theory Conference, Bozeman, Montana; 2011.
    · Karlin, J. L. King’s theory of goal attainment: The intrapartum nurse’s perspective. OCLC FirstSearch; 2011.
    · Olsson, H., & Forsdahl, T. Expectations and opportunities of newly employed nurses at the University Hospital, Tromso, Norway. Social Sciences in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1996;2(1): 14–22.
    · Palmer, J. A. Nursing implications for older adult patient education. Plastic Surgical Nursing. 2006;26(4): 189–194.
    · Rooke, L. The concept of space in King’s systems framework: Its implications for nursing. In M. A. Frey & C. L. Sieloff (Eds.), Advancing King’s systems framework and theory of nursing; 1995a. 79–96.
    · Rooke, L. Focusing on King’s theory and systems framework in education by using an experiential learning model: A challenge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M. A. Frey & C. L. Sieloff (Eds.), Advancing King’s systems framework and theory of nursing 1995b. 278–293.
    · Taha, A. Factors relating to disposition status in children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Communicating Nursing Research. 2009 Apr;42:417-.
    · Williams, L. A. Imogene King’s interacting systems theory-Application in emergency and rural nursing. Online Journal of Nursing and Health Care. 2001;2(1):40-5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