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윤리]-공무원의 직업윤리와 공직윤리
- 최초 등록일
- 2020.08.24
- 최종 저작일
- 2020.03
- 20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1,000원

소개글
"[직업윤리]-공무원의 직업윤리와 공직윤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공직윤리란 ?
2. 좋은 행정을 좌우하는 행정의 핵
3. 공직윤리를 저해하는 요인
4. 한국의 공직윤리
5. 실학사상에서의 공직윤리
6. 정약용의 공직윤리
7. 공직자윤리법
8. 무용지물이 된 공직자윤리법
9. 청렴성은 최고의 공직윤리
10. 공직윤리의 교육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직윤리란 ?
2012 년 10 월 12 일 ( 금 ) 세계일보 기사 발췌
공무원 행동강령 위반 사례 중 85% 가 부정부패
관료가 바로서야 나라가 바로 선다 .
수신제가치국(修身齊家治國)
고려 명종 때 현덕수(玄德秀)의 일화
지방에서 개성으로 돌아와 집을 마련하였는데 그 집 주인 노극청이 찾아와 “ 수리 한번 안하고 은 열두근에 집을 파는 것은 나의 청렴을 더럽히는 일이라 계약을 파기하는 것 외에 도리가 없다 .” 고 하자 현덕수가 “ 지금의 시세로 계약한 것이니 얼마 더 받는 것이야 해로울 게 없다 .” 하였다 . 이에 노극청은 더 받은 세 근을 되돌려주겠다고 하였으나 , 현덕수는 자신의 청렴함을 내세워 남의 집을 제값보다 싸게 샀다는 말은 결코 듣고 싶지 않다고 하였다 . 옥신각신하다가 마침내 두 사람은 은 세근을 부처님께 시주하는 것으로 결말을 지었다 .
고려사 권 제 99 열전 제 12 권 현덕수전
공직윤리란 ?
바르고 좋은 행정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규범적인 행동기준
정책이나 법 , 제도를 결정하고 집행하는 과정에서 공직자들이 바르고 좋은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준거해야 할 가치와 태도 , 그리고 이념 등의 묶음
한국의 공직윤리 , 나중식 , 서울경제경영 -9 쪽
좋은 행정을 좌우하는 행정의 핵
행정에 부수되는 것이 아니라 행정에 필연적으로 내재하는 문제이고 , 좋은 행정을 좌우하는 핵이자 근본문제
모든 행정행위는 공직자가 가지고 있는 가치와 신념을 통하여 표출되기 때문
한국의 공직윤리 , 나중식 , 서울경제경영 -9 쪽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