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에게 요구되는 공직윤리 및 덕목에 대해 논하시오
- 최초 등록일
- 2019.09.25
- 최종 저작일
- 2019.09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공직자에게 요구되는 공직윤리 및 덕목에 대해 논하시오.
<사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국가존립의 기본 덕목은 공직자의 청렴이다. 한국도 중앙정부든 지방정부든 새 정부가 탄생할 때마다 공무원들의 청렴도를 높이겠다며 목소리를 높여왔다.
그러나 해가 가도 한국의 청렴도는 하위권이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2012년 부패지수 5.6점을 OECD 평균인 7.0점으로 향상시키면 경제성장률이 1.4%포인트 높아진다고 한다.
부패는 단순히 경제성장을 저해하는데 그치지 않는다. 국민의 윤리의식을 마비시켜 불법·탈법을 부추김으로써 공동체의 존립기반을 흔든다.(중략)
조선 시대 공직자들이 지켜야 할 규범으로 '사불 삼거(四不三拒)'가 있었다. 하지 말아야 할 네 가지(四不)는 부업을 갖지 않고 땅을 사지 않으며, 집을 늘리지 않고, 재임지 명산물을 먹지 않는 것이다.
거절해야 할 세 가지(三拒)는 윗사람의 부당한 요구, 부득이 요구를 들어줬을 때의 답례, 경조사의 부조다. 사불 삼거의 '청렴의 정신'은 지금도 유효하고 제주경쟁력을 키우는 초석이다.
(제민일보 2013년 11월 26일자 보도내용 중에서)
http://www.je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21975
○ 참고사항 - 최근 인사혁신처를 중심으로 중앙정부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정부윤리 교육이 한창이다. 공직자에게 요구되는 공직윤리 및 덕목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논의해 보자.
이를 위해서는 각종 언론매체에 실린 관련 기사들을 참조하면 좋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공직자가 갖춰야할 공직윤리
2. 공직자가 갖춰야할 윤리적 덕목 및 역량
1) 도덕적 리더십
2) 진실의 리더십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공무원 직업윤리로서의 청렴은 공직자가 올바른 가치관을 가짐으로 방향을 제시해주게 되는데 이는 자발적인 의미로 내 마음의 길을 따라 행동하는 것이 공직자에게 있어 진정한 청렴의 의미가 될 수 있다. 공직자로서의 청렴함을 기대하는 일반 국민의 기대치는 훨씬 높은 것을 조사에서도 볼 수 있듯이 과거나 지금이나 현저히 지키기 힘든 일임에도 불구하고 미래를 위해 신뢰받는 공조직을 만들기 위해 공직윤리와 덕목을 세우는 일이 중요하다.
Ⅱ. 본론
1. 공직자가 갖춰야할 공직윤리
공직윤리란 업무관계자로부터 선물을 받는 것에 대해 올바른 인식과 조직 내 부정한 일에 대한 시정을 요구하려는 인식, 또한 이직 혹은 퇴직 시에 조직에서 체득한 기술 혹은 지식을 갖고 나가지 않겠다고 인식하는 등의 공직 수행과정에서 발휘되는 내면의 가치체계라 할 수 있다. 공직수행에 있어 윤리적 실천을 적극 발현할 수 있는 핵심역량이 바로 인성이기 때문에 공직사회에서 인성의 중요성은 매우 강조된다.
참고 자료
국회입법조사처 2015.01.30. ‘공직자의 인성과 윤리’
박천오 2014 [공무원 윤리의 확장: 행동윤리에서 정책윤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