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도현, 「여중생의 화장관심도가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차의과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 Santrock, J.W., 『Adolescence』, New York: Mcgrow-Hill, 2010.
· Blakemore, S.J., Burnett, S., & Dahl, R.E., 「The role of puberty in the developing adolescent brain」, 『Human brain mapping』, 31(6), 926-933, 2010.
· Somerville, L.H., Jones, R.M., & Casey, B.J., 「A time of change: Behavioral and neural correlates of adolescent sensitivity to appetitive and aversive environmental cues」, 『Brain and cognition』, 72(1), 124-133, 2010.
· 프랜시스 젠슨, 에이미 엘리스 넛 저, 김성훈 역, 『10대의 뇌』, 웅진지식하우스, 2019.
· Moore, W.E., Pfeifer, J.H., Masten, C.L., Mazziotta, J.C., Iacoboni, M., & Dapretto, M., 「Facing puberty: associations between pubertal development and neural responses to affective facial displays」, 『Social cognitive and affective neuroscience』, 7(1), 35-43, 2012.
· 정옥분,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9.
· 루안 브리젠딘 저, 임옥희 역, 『여자의 뇌』, 웅진지식하우스, 2019.
· 김경자, 김윤정, 전예진, 공득희, 마정수, 「사춘기 조숙화 영향에 관한 연구-초경연령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연구논집』, 제24권, 1993.
· 차귀옥, 「청소년의 화장품 사용실태와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조옥성, 「청소년 여가활동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우석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9.
· 장근영, 이혜연, 배상률, 성은모, 이용교, 홍승애, 김균희, 노승현, 이용해, 이재은, 조미솔, 「청소년이 행복한 마을 지표개발 및 조성방안 연구 I :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 Arnett, 『인간발달: 문화적 접근 2판』, 서울:시그마프레스, 2018.
· 홍지연, 「남·여 중학생의 외모만족도와 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송윤경, 「청소년들의 외모만족도와 자기표현욕구에 따른 화장행동과 헤어행동」,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 구인선, 「중학생의 감각추구성향, 화장행동, 헤어행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 송현영, 「여중생의 화장에 대한 인식 및 화장행동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나윤영, 송선영, 「여중생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 및 화장품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과학예술포럼』, 제18권 제1호, 221~233쪽, 2014.
· 정재은, 이순원, 「20대 여성의 실제체형과 이상형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제17권 제3호, 448-458쪽, 1993.
· 이상선, 오경자, 「외모 관련 사회문화적 태도 설문지의 타당화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22권 제4호, 913~926쪽, 2003.
· 김희자, 「청소년의 외모관심도와 만족도에 따른 미용행태와 미의식에 관한 연구」, 서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최소정, 「10대들의 외모관심도가 화장행동 및 색조화장품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강금미,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신체매력지각이 화장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