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세계적으로 한 사회와 국가 구성원의 건강상태에서 정신건강이 차지하는 비이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세계인의 건강에 가장 큰 부담을 야기하는 10대 장애에 주요우울장애,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알코올 남용, 강박장애 등 정신질환이 5개나 포함되어 있음을 보고하였고, 2001년 현재 4억 5천만 명이 정신질환, 신경학적 질환, 약물 및 알코올 중독과 같은 심리사회 문제로 고통 받는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WHO, 2001).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정신질환의 평생 유병율은 30. 0%로 비교 흔한 질병이며, 정신질환에 이환된 환자의 11. 4%가 의사, 정신과의사, 기타 정신 건강 전문가에게 상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보건복지부, 2006).
정신질환을 보는 관점이나 처우하고 치료하는 방법은 시와 사회에 따라서 독특한 방법으로 발전되어왔다. 우리나라에서는 70~80년대에는 장기입원과 장기수용을 통하여 정신질환자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이 정신 보건정책 의심이었고, 이로 인해 1980년 반 이후 정신병상수가 격하게 증가함으로 인해서 양적인 성장에만 치우쳤다. 그리고 그에 상응하는 질적인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신질환자들의 인권이 유린되고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었다(이창곤, 김재경과 김이영, 2002). 이에 따라서 1995년에 정신질환자들의 치료여건과 인권을 향상시키기 한 목적으로 정신보건법이 제정되었고 2001년도에 국가인권원회가 출범되었다. 최근에는 서구의 탈원화 정책, 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정신보건정책으로 인해 세계적으로나 국내에서나 정신질환에 한 편견해소와 올바른 개념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정책적인 노력과 여러 면에서 관심을 둔 정신보건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WHO, 2001; 황태연과 이주훈, 2001).
· 강미영 (2009). 정신장애인이 인지하는 차별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학교 정책ㆍ산업대학원, 서울.
· 곽의향 (2000). 정신질환자가 지각한 낙인에 관한 연구. 청주학교행정학원,
· 국가인권원회 (2008). 정신질환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 실태조사. 국가인권위
· http://www.humanrights.go.kr/02_sub/body03_2.jsp?NT_ID=17&flag=VEW&SEQ_ID=589618&page=3&PROCESS_ID=
· 김미희 (2002). 정신위생 교육 전후 대학생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식과 태도 비교. 한국응구조학회지, 6(6), 5-14.
· 김연희 (2007). 정신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김영미 (2008). 정신장애인의 직업적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연구: 대구ㆍ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 김은경 (2000). 사회적 편견에 대한 정신장애인의 대한 가족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김정남 (2003).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8(3), 595-617.
· 김정남, 서미경 (2004). 정신장애인에 한 편견과 차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9(3), 589-607.
· 김창윤, 김용식, 이부영 (1988). 정신과 교육이 정신장애에 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27(1), 96-107.
· 김형섭․서상훈․곽상곤․김융희․김소희․오석배 (1996). 용인정신병원 간호사, 보호사들의 정신장애에 대한 인식 태도조사. 용인정신의학보, 3(1) ,47-60.
· 김효정 (2000).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의료인과 일반인 비교. 카톨릭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노춘희 (2000). 정신간호실습교육 전, 후 간호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인식 및 태도 비교. 정신간호학회지, 9(2), 145-155.
· 류근선 (2002). 청소년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편견. 중앙대학교 석사학논문, 서울.
· 박정원, 하나선 (2003).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2(1), 27-35.
· 보건복지부 (2006).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연구용역사업 보고서,
· http://stat.mw.go.kr/homepage/data/part_data_content.jsp?menu_id=21&curr_page=5&board_bcd=2&ctrl_command=doNothing&seq_no=9403
· 브리태니커 백과사 (2009).
· http://preview.britannica.co.kr/search/s97_utf8.exe?QueryText=편견&DBae=Article_Up
· 서미경 (2005). 정신보건환경과 정신장애인의 인권. 상황과 복지, 20, 89-117.
· 서미경, 김정남 (2005). 정신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스티그마와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스티그마의 비교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4(3), 371-375.
· 성준모 (1996). 퇴원한 정신질환자가 자각하는 낙인의 정도와 그 대처 경향에 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심순남 (2005). 정신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논문, 경남.
· 야후 백과사전 (2009).
· http://kr.dictionary.search.yahoo.com/search/dictionaryp?p=%EC%B0%A8%EB%B3%84&subtype=enc&field=id&pk=18495700
· 양수, 유숙자 (2001). 정신간호학 학습 전후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한 간호대학생의 편견. 정신간 호학회지, 10(3), 421-435.
· 양옥경 (1998).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 편견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5, 231-261.
· 양옥경, 김충희 (2004). 정신장애인의 인권과 편견. 사회과학 연구논총, 12, 357-373.
· 유소연 (2004). 정신질환자가 지각하는 낙인정도에 한 연구. 이화여자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이경희 (2001). 정신장애를 지닌 사람에 한 낙인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이영문 (1999). 정신 장애인의 편견에 한 지역사회의 역할과 과제. 99년 제2차 세미나 대한 정신보건 가족 협회지, 29-36.
· 이창곤, 김재경, 김이영 (2002). 정신보건법 적용실태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41(4), 693705.
· 이현정 (2005). 알코올중독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편견에 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 임창순 (2008). 청소년의 정신장애인에 한 편견에 한 연구-대전 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 정선미 (2005).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낙인에 한 연구. 이화여자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정해․최정숙․김은하․김정숙․최혜 (2008).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정신간호실습 전후 비교. 사회연구, 16(2), 195-210.
· 조은영 (2000).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에 한 스티그마 형성과정에 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 주재연 (2009). 정신장애인 사회권 침해 연구. 고려학교 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 채인영․조두영 (1986). 정신의학 임상실습 교육이 정신질환에 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25(1), 167-179.
· 한경례 (2002). 정신분열병 환자의 낙인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남.
· 황태연․이주훈 (2001).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현황과 전망. 사회정신의학, 6(1), 4-11.
· Corrigan, P. W., Markowitz, F. E., & Watson, A. C. (2004). Structural Levels of Mental Illness Stigma and Discrimination. Schizophrenia Bulletin. 30(3), 481-491.
· Fink, P. J., & Tastman, A. (1989). Stigma and Mental illness.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Introduction.
· Gallo, K. M. (1994). First person account: self-stigmatization. schizophrenia bulletin, 20(2), 407-410.
· Holmes, E. P., Corrigan, P. W., Williams, P., Cancar. J., & Kubiak, M. A. (1999). Changing attitudes about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25(3), 447-456.
· Keane, M. (1991). Belief about mental illness in a culturally diverse nursing student population: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practice. Journal of New York State Nurses Association, 22(4), 15-18.
· Link, B. G. (1987). Understanding labeling effects in the area of mental disorders: An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expectations of reje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2, 96-112.
· Meyer. L. M. (1973). Comparison of attitudes toward mental patients of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and their university peers. Nursing Research, 22(3), 242-245.
· Otto, F. W., & Charles, R. H. (1989). Family Views of Stigma. Schizophrenia Bulletin, 15(1), 131-139.
· Saunders, J. (1997). Symbolic interactionism for families living with severe mental illness. Journal of psychosocial nursing, 35(6), 8-13.
· Wahl, O. F. (1999). Mental health consumer's experience of stigma. Schizophrenia Bulletin, 25(3), 467-478.
· WHO (2001). http:// www.who.int/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