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지도안]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과 제도 개편
- 최초 등록일
- 2020.06.01
- 최종 저작일
- 2020.06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우행시 (본인인증회원)
소개글
"[수업지도안] 조선 후기의 정치 변동과 제도 개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통치 체제의 변화를 꾀하다
2. 탕평 정치를 추진하다
3. 세도 정치로 사회가 혼란해지다
본문내용
학습 목표
•양난 이후 통치 체제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지도상의 유의점
•조선 후기에 나타난 정치 구조와 군사 제도의 내용을 조선 전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조선 후기 수취 체제의 개편 내용을 분야별로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도입
• 교과서 154쪽 <생각을 여는 이야기>에 제시된 내용을 읽고, 대동법을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데 왜 100년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되었을지 이야기해 보게 한다.
전개
강의 학습
• 비변사 중심의 정치 구조 변화와 그 영향을 설명한다.
- 임시 기구였던 비변사가 상설 기구로 재편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후 비변사의 기능 강화로 나타난 결과를 정리한다.
• 훈련도감을 비롯한 5군영과 속오군 체제를 설명한다.
- 조선 후기 군사 제도가 5군영 체제인 중앙군과 속오군 체제인 지방군으로 개편되었음을 설명하고, 이를 조선 전기와 비교하여 정리한다.
• 농촌 사회의 안정과 국가 재정 기반 확대를 목적으로 개편된 양난 이후 수취 체제의 내용을 설명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