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문화재란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국가적, 민족적 유산으로 경관적,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자연 및 인류의 문화활동의 결과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문화재의 종류로는 유형문화재, 무형문화재, 기념물, 민속자료 등으로 구분된다. 그 중 유형문화재는 건조물, 서적, 고문서, 회화, 조각 등 유형의 문화재로써 역사적, 예술적, 학문적 가치가 큰 것을 말하며 무형문화재는 음악, 무용, 연극, 공예기술 등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그 가치가 큰 것을 의미 한다. 나는 이 중 무형문화제, 그 중에서도 전남지역의 무형문화제에 대하여 조사해보려고 한다.
Ⅱ. 본론
1. 목포지역의 무형문화제
1) 판소리 흥부가(김순자)
<사진 1-1>
판소리 흥부가(김순자)
김순자는 판소리의 고장 진도에서 1945년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판소리를 수학하여 왔으며,
1967년 김흥남 선생에게 흥부가를 사사받아 판소리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전북 중요무형문화재 2호인 최란수 선생에게 수궁가,흥부가,춘향가를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인 조상현선생에게 심청가,춘향가를 사사받았다. 또한 제16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판소리 차상, 1996년 광주국악대전 판소리 명창부 대통령상 수상, 1994년 서울판소리 유파발표회, 98년 판소리 흥보가 완창, 2005년 서울판소리 유파 발표회 등 수차례의 판소리 발표회를 해왔다.
특히 김순자는 목포문화원, 목포해양대학교, 한라대학교, 전남도청, 전남예술고, 제주 목관아 등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판소리 전수교육을 실시하는 등, 후학양성, 지역의 전통문화 및 예술 발전을 위해 활발한 활동을 행해오고 있다.
2) 판소리 수궁가(박방금)
박방금(예명 박금희)는 1949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1960년 목포 국악원 김상용 선생 문하에서 심청가를 사사하였고, 그 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예능보유자인 오정숙 명창께 홍보가 완판 사사 이후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예능보유자인 성우향 명창에게 춘향가완판 사사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예능보유자 정철호 선생께 적벽가, 수궁가, 심청가 완판 사사를 받았다.
· 인터넷, 문화재청, 판소리 흥부가(김순자)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290500,36
· 인터넷, 문화재청, 현천소동패놀이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07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거문도 뱃노래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01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광양 궁 시장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12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참빗장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15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담양죽렴장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23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낙죽장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44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황금리 들노래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46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접선장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4801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진도 북놀이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18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진도만가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19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곡성죽동농악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35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우수영부녀농요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20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장산도 들노래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21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가거도 멸치잡이 노래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22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승주 달집 태우기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24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순천 구산용수제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32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순천 삼설양굿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430000,36
· 인터넷, 문화재청, 나주반장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22,0014000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