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마이 플레이스 영화분석-정상가족의 환상; 미혼모

"[비판적 글쓰기]마이 플레이스 영화분석-정상가족의 환상; 미혼모"에 대한 내용입니다.
17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20.05.18 최종저작일 2018.04
17P 미리보기
마이 플레이스 영화분석-정상가족의 환상; 미혼모
  • 미리보기

    소개

    "[비판적 글쓰기]마이 플레이스 영화분석-정상가족의 환상; 미혼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현실
    2. 미혼모 지원대책과 문제점
    3. 우리나라와 캐나다의 미혼모 지원 정책 비교
    4. 해결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가족’이란 주로 부부를 중심으로 한, 친족 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집단 또는 그 구성원으로 혼인, 혈연, 입양 등으로 이루어진 관계를 의미한다. 이 중 한국 사회에서 인정하는 정상가족의 기본 형태는 한국인 부부와 그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로 이루어진 핵가족으로 즉, ‘부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가족형태를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결혼’이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결혼은 남녀가 정식으로 부부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에 속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사회적 통념으로 정의하는 ‘결혼’이 불가능한 사람들로, 정상가족의 정의에 포함되지 못하는 가족들이다. 정상가족에 속하지 못하는 사람들로는 한부모 가족, 미혼모(부) 가족, 조손 가족, 독신 가족 등등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들이 정상가족에 속하지 않는다고 하여 한국 사회에 존재하지 않는가라고 묻는다면 절대 그렇지 않다.
    영화 ‘마이 플레이스’에 나오는 주인공은 한부모 가정으로 혼자 아이를 낳아 키우는 미혼모이다. 어린 시절 캐나다에서 왔지만 무난히 한국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잘 적응해나가는 큰 아들과(감독)과 잘 적응해 나가지 못하고 항상 그 상황과 대립하고 받아들지 못하는 딸. 결국 딸은 다시 자신이 원했던 캐나다로 혼자 돌아가고 몇 년 후 항상 일찍 결혼하고 싶다고 말하던 딸은 혼자 아이를 임신한 후 한국으로 돌아오게 된다. 하지만 아이를 낳고난 후 딸은 다시 캐나다로 돌아가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으며 아이와 함께 행복하게 가족을 꾸려나간다. 우리는 이 영화를 보면서 주인공인 딸이 왜 다시 캐나다로 돌아가야 했는지, 또한 우리나라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에 대한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Ⅱ. 본론
    1.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현실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전국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이 참가한 여론조사의 결과로, 미혼모에 최초 상기 이미지는 ‘불쌍하다’, ‘힘들다’, ‘(남편없이)혼자 아이를 키운다’, ‘안타깝다’, ‘혼전임신’, ‘미성년자/10대’ 등 부정적인 의견이 주를 이루었다(약 89.4%).

    참고자료

    · 김준영, “[창간기획 - 다가오는 '목말사회'] 미혼모 2만명 시대… 행복할 자신 있는데 편견에 눈물”, 2018.04.25., http://www.segye.com/newsView/2*************
    · 전소영, “한국미혼모지원네트워크 박영미 대표 ‘미혼모 위한 법률 개정과 인식개선 함께 이뤄져야’”, 2018.04.25.,
    · http://www.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256
    · 주선영 더 나은 미래 기자, “[더 나은 미래] 아이 키우려면 일해야 하는데… 생활도 취업도 힘들기만 하네요”, 2018.04.25
    · http://m.chosun.com/svc/article.html?sname=news&contid=2013090902356#Redyho
    ·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년 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 2018.04.25
    · file:///C:/Users/%EC%8A%B9%EC%A7%80/Downloads/%EC%A0%95%EC%B1%85%EB%B3%B4%EA%B3%A0%EC%84%9C+2012-88.pdf
    ·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cs/opfMain.do
    · 한국뉴스투데이, “[특집] 미혼모와 사생아 문제④”, 2018.04.25.,
    · http://www.korea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841
    · 김도영, “[나는 대한민국 미혼모입니다] ② 입양 권유만…“자립 방해””, 2018.04.25.,
    ·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636672
    · 신학용, 서현진, “신학용의원, 국가청소년위원회 ‘리틀 맘’ 대책 강구해야”, 2006.10.30., 보도자료,
    · http://www.cubs-korea.org/korean/bbs/download.asp?bbs_code=util_bbs43&bbs_number=1311&fld=fileurl
    · 이재경, 「가부장제 이후의 한국 가족 : 정상성에서 유연성으로 = South Korean Family after Patriarchy : from Normality to Flexibility」, 『한국문화연구(The Korean Cultural Studies)』 , 2015, 283-310쪽
    · 신옥주,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적 연구」, 『法學論集(Ewha law journal)』, 2016, 234-272쪽
    · 이지혜, “성(性)의 핵심은 생명과 책임… ‘미혼부 책임법’ 제정 바람직
    · 미혼모에게 자녀 양육비 강제 지급 법제화“, 2018.04.26.,
    · http://www.c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cid=513881&path=20140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