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태죄 폐지 시위의 실천적 의미 연구 - 윤리와 철학적 사상의 해석을 중심으로 -
*병*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낙태죄 폐지 시위의 실천적 의미 연구 - 윤리와 철학적 사상의 해석을 중심으로 -"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1. 서론2. 이론적 배경
1)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
2) 들뢰즈의 여성-되기
3) 낙태죄 폐지의 쟁점과 시위 사례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선정
4. 분석 결과
1) 일상에서의 삶 권력 경험
2) 낙태죄 폐지 시위와 다중 실천
3) 낙태죄 폐지 시위와 여성-되기 실천
5. 결론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2019년 4월 헌법재판소는 두 번의 심리 끝에 낙태를 처벌하도록 규정한 형법 규정에 대해 ‘위헌’ 판단을 내렸다. 낙태를 죄로 규정한 지 66년만이다. 헌재는 낙태죄가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위헌으로 판단하면서도 해당 조항이 즉시 무효가 될 경우 발생할 사회적 혼란을 감안해 헌법 불합치로 최종 결정을 내렸다. 이에 따라 2020년 12월 31일까지 법이 개정되지 않을 경우 낙태죄 규정은 폐지된다. 낙태죄는 그동안 스스로 판단해 아이를 낳을지를 결정하는 임산부의 자기결정권과 한 생명으로서 지켜야 한다는 태아의 생명권 사이에서 어느 쪽을 더 우선하느냐의 문제로 오랜 논쟁거리였다(이설, 2019,4,11). 2012년 낙태죄 합헌 결정 이후 7년 만에 헌법재판소가 낙태죄 조항에 대해 완전히 다른 결정을 내린 이유는 시간이 지나면서 달라진 사회적인 인식과 헌재 내부의 변화가 그대로 반영된 결과로 읽힌다(김형민, 2019,4,11). 실제로, 지난 2월 1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 여성 4명 중 3명(75.4%)은 현행 낙태죄(자기낙태죄, 동의낙태죄)를 개정해야 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임신중절을 결정해야 할 주체인 여성들이 낙태죄 개정에 대해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이를 비롯하여 낙태죄 폐지를 위한 여성들의 시위와 연대는 헌재의 판결이 나오기까지 계속되었다. 2012년 합헌 결정 후 한동안 주목을 받지 못한 낙태죄 이슈는 2016년 보건복지부가 '불법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겠다는 의료법 개정을 예고하면서 논란이 되었다(이별님, 2019,4,13).참고 자료
강진숙·배민영 (2010). ‘소수자-되기’를 위한 노인 미디어교육 연구: 노인 미디어교육 교수자 및 학습자와의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6권 1호,강진숙·이은비 (2014). ‘서울마을미디어’의 다중 실천과 문화정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 개념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5권 3호,
김광석 (2009). 네그리와 자율주의 비판. <노동사회과학>, 2호,
김도경·허윤주 (2013).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낙태 허용도와 여성의 낙태 결정권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김동규 (2014). 반란과 혁명의 제도화를 위하여. <로컬리티 인문학>, 11호, 323-333.
김범수 (2018). 인터넷 시대의 사회운동과 정치변동: 다중운동이론의 적용. <글로벌정치연구>,11권2호
김석 (2006).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하는 기계. <철학과 현상학 연구>, 29권, 173-202.
김은주 (2014). 들뢰즈와 가타리의 되기 개념과 여성주의적 의미: 새로운 신체 생산과 여성주의 정치. <한국여성철학>, 21권
김충열 (2016). 정현종의 사물의 꿈에 나타나는 시어 사이 연구: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적 사유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174호
나영 (2017). 2016년 ‘검은 시위’, ‘낙태죄 폐지’의 정치 의제화를 시작하다. <페미니즘 연구>,
나영 (2018). 낙태죄 폐지, 우리는 더이상 승인을 요청하지 않는다. <황해문화>, 53-73..
남정애 (2013). 들뢰즈/가타리의 사유를 토대로 살펴 본 변신모티프: 카프리와 한강의 작품을 중심으로. <카프카연구>, 30권
문한나 (2017).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생명윤리>,
민세명 (2016). 한국사회에서 ‘다중(multitude)’의 필요성: 네그리와 하트의 현실인식을 바탕으로. <윤리교육연구>, 42권
민진영 (2007). “여성-되기와 질 들뢰즈의 예술론”. <프랑스문화연구>, 15권,
박종주 (2017). '낙태'는 죄였던 적이 없다: 오늘의 낙태죄 폐지 운동. <여성이론>, 37권,
배은경 (2004). “한국사회 출산조절의 역사적 과정과 젠더: 1970년대까지의 경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성과재생산포럼기획 (2018). <배틀그라운드 : 낙태죄를 둘러싼 성과 재생산의 정치>.서울:후마니타스.
신옥주 (2018). 낙태죄의 위헌성에 관한 고찰. <생명,윤리와 정책>, 2권
오창호 (2014). 소셜 미디어와 유목적 삶: 들뢰즈와 가타리 욕망이론의 관점에서 본 소셜 미디어 문화현상. <언론과학연구>, 14권 4호
이경화 (2013). Deleuze와 Guattari의 ‘여성-되기’의 관점에서 본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아시아여성연구>, 51권
이은진 (2019). 배틀 그라운드』, 낙태죄 폐지 투쟁의 새로운 패러다임. <젠더법학>, 10권 2호,
이정우 (2008). <천하나의 고원: 소수자 윤리학을 위하여>. 파주: 돌베개
장유정 (2017). 노년세대의 갈등유형과 소수자 미디어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들뢰즈
와 가타리의 소수자론과 푸코의 주체구성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2권 3호,
조애리·김진옥 (2016). 들뢰즈와 가따리의 여성-되기와 전복성. <페미니즘 연구>, 16권 1호,
최현정 (2018). 낙태죄 헌법소원의 쟁점들. <여/성이론>, 39권, 262-274.
황순향 (2014). 탈구조주의 이론에 나타난 욕망과 이데올로기의 역학관계. <철학논총>, 76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