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4조 마이컬슨 간섭계
- 최초 등록일
- 2020.04.19
- 최종 저작일
- 2019.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부. 기본정보
1. 실험 준비물
2. 기본 이론
2부. 탐구내용
1. 실험 과정 및 결론
3부 고찰
1. 느낀 점
2. 개선사항
3. 시사점
본문내용
◈ 실험 준비물
마이컬슨 간섭계의 원리를 알고, 간섭패턴을 평가한다.
◈ 기본 이론
1881년에 Thomas Young은 이중슬릿 실험을 소개했다. 마이컬슨(A. A. Michelson)은 영과 비슷한 원리를 사용하여 간섭계를 설계하고 만들었다. 본래 마이컬슨은 자신의 간섭계를 빛을 전파하는 측면에서 매질로 가정했던 에테르(ether)의 존재를 검증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설계했다. 그의 노력에 기인하여 에테르는 더 이상 성공할 수 있는 가설로 간주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을 넘어서서 마이컬슨 간섭계는 빛의 파장을 측정하기 위한 기구로, 극히 짧은 거리를 측정하는 이미 알려진 광원의 파장으로 사용하는 기구로, 광학매질을 연구하는 기구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마이컬슨 간섭계의 도해는 그림 1-1과 같다. 레이저로부터 나온 광선다발은 광선 분배기 (beam-splitter)를 부딪히는데 입사광선의 50%가 반사되며 입사광선의 나머지 50%는 투과된다. 그러므로 입사된 광선다발은 두 개의 광선다발로 갈라진다.
<중 략>
이러한 방법으로 원래의 광선다발은 갈라지고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광선다발의 부분이 함께 돌아온다. 광선다발의 광원이 같기 때문에 이들의 위상은 높은 상관이 있다. 렌즈가 레이저 광원(laser source)과 광선 분배기 사이에 놓여 있을 때, 광선은 퍼지며, 어두운 간섭 패턴(interference pattern of dark)과 밝은 링(bright rings) 또는 간섭무늬(fringes) 등이 관찰 화면에 나타난다.(그림 1-2 참조)
참고 자료
Jhon W.Jewett, Jr., Ramond A. Serway(2015) 대학물리학Ⅰ,Ⅱ: 북스힐
Raymond A. Serway, Clement J. Moses, Curt A.Moyer(2007) 현대물리학: 북스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