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문학사해석(집현전사육신, 서거정 김종직, 김시습 남효온 어무적, 이행 박은(해동강서파), 백광훈 최경창 이달(삼당시인), 이황 이이 조식(도학파문학), 윤근수 최립(의고파), 허균 허난설헌

4 페이지
압축파일
최초등록일 2020.04.17 최종저작일 2019.03
4P 미리보기
한문학사해석(집현전사육신, 서거정 김종직, 김시습 남효온 어무적, 이행 박은(해동강서파), 백광훈 최경창 이달(삼당시인), 이황 이이 조식(도학파문학), 윤근수 최립(의고파), 허균 허난설헌
  • 미리보기

    소개

    한문학사 집현전사육신集賢殿․死六臣,서거정徐居正 김종직金宗直,김시습金時習 남효온南孝溫 어무적魚無迹,이행李荇 박은朴誾해동강서파海東江西派,백광훈白光勳 최경창崔慶昌 이달李達삼,이황李滉 이이李珥 조식曹植도학파문학,윤근수尹根壽 최립崔岦의고파擬古派,허균許筠 허난설헌許蘭雪軒 작품의 해석 및 작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설명입니다.
    위에 나와있는 4페이지는 집현전사육신 작품에만 해당합니다. 다른 작품까지 모두 합하면 50페이지입니다.

    목차

    1. 집현전사육신集賢殿․死六臣
    2. 서거정김종직徐居正․金宗直
    3. 김시습 남효온 어무적(방외인문학)金時習․南孝溫․魚無迹(方外人文學)
    4. 이행 박은(해동강서파)李荇․朴誾(海東江西派)
    5. 백광훈 최경창 이달(삼당시인)白光勳․崔慶昌․李達(三唐詩人)
    6. 이황 이이 조식(도학파문학)李滉․李珥․曹植(道學派文學)
    7. 윤근수 최립(의고파)尹根壽․崔岦(擬古派)
    8. 허균 허난설헌
    9. 한문학의 역사개관흐름

    본문내용

    1. 집현전사육신集賢殿․死六臣
    • 世宗勵精文治. 高出萬古. 歲庚子始置集賢殿. 選文士十人充之. 세종은 문치에 힘을 써서 정교하게 했다. 만고(오랜 세월)에 높이 솟아올랐다.

    2. 서거정김종직徐居正․金宗直
    • 徐四佳居正 秉文衡至二十六年之久. 故如金佔畢宗直 姜晉山希孟 李三灘承召 皆不得爲之.
    사가 서거정이 (형 柄 : 문장의 최고 우두머리인 대제학이 된 것) 문형을 잡은 것이 26년의 오램이 되었다.
    그러므로 점필재 김종직, 진산 강희맹, 삼탄 이승소가 모두 그것을 맡을 수가 없었다. (홍문관 대제학을 지내지 못함)

    3. 김시습 남효온 어무적(방외인문학)金時習․南孝溫․魚無迹(方外人文學)
    • 梅月堂金時習 遁世爲僧. 道號雪岑. 嘗游京城. 過相國權擥家.
    매월당 김시습은 세상을 달아나 승려가 되었다. 그래서 도호 설잠이다. 일찍이 경성에서 노닐었다. 상국인(좌의정 우의졍 영의정 등 3정승) 권람의 집을 지나갔다. (權擥권람 : 권근의 손자. 서거정과 같이 관인문학을 주도했던 굉장한 세도가)

    4. 이행 박은(해동강서파)李荇․朴誾(海東江西派)
    • 我國詩 當以李容齋爲第一. 沉厚和平 澹雅純熟
    우리나라 시는 마땅히 (容齋용재 : 이행) 이행으로써 제일로 삼아야한다.
    (沉가라앉을 침-풍격 : 기풍과 격조. 이 사람의 정신이 가라앉아 있는 것/두텁고)(雅바를아:성인의 생각이 바르게 박혀있는 것)(純순 : 티끌이 없다)
    가라앉고 두텁고 조화롭고 평화롭고 담담하고 바르고 순일하고 익숙하다.(이 사람의 정신이 깊은 사유를 하기에 시에 나타난 용어 자체가 나오는 것)

    5. 백광훈 최경창 이달(삼당시인)白光勳․崔慶昌․李達(三唐詩人)
    • 當穆陵朝 有稱三唐集者. 謂崔孤竹慶昌 白玉峯光勳 李蓀谷達也.
    목릉의 시대를 당해서 삼당시집이라고 일컫는 것이 있다. 고죽 최경창, 옥봉 백광훈, 손곡 이달이다.
    是三子者 刻意摹唐. 間有絶相肖者. 이 세 사람은 (刻새길각/意뜻의 : 생각을 새기다. 모으고 모으다) 당나라를 모방하였다.

    6. 이황 이이 조식(도학파문학)李滉․李珥․曹植(道學派文學)
    • 我東方歌曲 大抵多淫哇不足言 우리 동방의 가곡들은 대체로(大抵대저) 음란하고 외설스러워 족히 말할 것이 못된다.
    如翰林別曲之類 出於文人之口. 而矜豪放蕩.
    한림별곡과 같은 것들은 문인들의 입에서 나온 것이다. (도를 실어야 하는데 ‘문장’을 잘하는 것)

    7. 윤근수 최립(의고파)尹根壽․崔岦(擬古派)
    • 我國之人 用功於詩學者衆矣.
    우리 나라 사람들은 시학에 공을 쓴 사람이 많았다.
    至於散文 則全不着力. 故鮮有可觀.
    산문에 이르는 즉 완전히(100%) 힘을 붙이지 않았다. (힘을 들이지 않았다)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