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정훈, 「문재인 대통령 "한국은 베트남에 마음의 빚 지고 있다"」, 『오마이뉴스』, 2017. 11. 12.
· 김순덕, 「內戰에 대한 대통령의 ‘마음의 빚’」, 『동아일보』, 2017. 11. 09.
· 정인혜, 「문재인 대통령, 베트남에 '마음의 빚' 사과..."잘못한 건 인정해야" 네티즌 긍정 평가」, 『시빅뉴스』, 2017. 11. 16.
· 김성재, 「베트남의 과거사, 빈호아 마을에 증오비?」, 『뉴스프리존』, 2018.03.05.
· 조복래·김범현, 「<노대통령 `호치민묘소' 헌화 의미>(종합)」, 『연합뉴스』, 2004.10.10.
· 김광일, 「'마음의 빚'에 멈춰선 베트남 학살…공식사죄 언제쯤?」, 『노컷뉴스』, 2017.11.16.
· 정호영, 「참전 군인 “베트남 양민 학살?…원통하다”」, 『뉴데일리』, 2017.11.23.
· 이정현, 「아리랑TV, 베트남 국영방송과 '한국군 민간인 학살' 다큐 합작」, 『연합뉴스』, 2017.12.28.
· 고경태, 『한마을 이야기 퐁니퐁넛(베트남 한국 퐁니 퐁넛 고경태의 기록,1968-2016)』, 보림, 2016.
· 서울=聯合, 「월남참전용사들 「말」誌서 농성」, 『연합뉴스』, 1990.07.25.
· 이기진, 「[베트남戰 '민간인사살']유죄 金목사 피맺힌 31년」, 『동아일보』, 2000.07.14.
· 이수형, 「[베트남戰 '양민사살']인터뷰/채명신예비역중장」, 『동아일보』, 2000.07.16.
· 이종훈, 「베트남전 상처치유노력 정부차원 대책 아쉽다」, 『동아일보』, 2000.04.30.
· 류우종, 「응우옌티탄의 진실을 찾아서」, 『한겨레21』, 2016.10.24.
· 김혜영, 「“한국인 손 놓은 곳은 아직도 적대적 분위기”」, 『한겨례』, 2014.06.20.
· 박수진, 「학살을 외면하지 않았을 뿐」, 『한겨레21』, 2017.08.15.
· 황윤희, 「"설명없이 집단학살, 그게 한국군의 특징이었다"」, 『오마이뉴스』, 2014.02.26.
· 황윤희, 「"아가야, 한국군이 우릴 폭탄 구덩이에 넣고..."」, 『오마이뉴스』, 2014.03.02.
· 박기용, 「한국군 베트남 민간인 학살 50주년 위령제, 한국인 사죄의 첫걸음」, 『한겨레』, 2016.03.04.
· 백재현, 「베트남전 최악의 비극, 미군의 치욕...미라이 학살 사건」, 『일간리더스경제』, 2018.03.16.
· 황금비, 「베트남 일간 <뚜오이째>, 베트남전 한국군 양민 학살 이례적 연속 보도」, 『한겨레』, 2016.09.22.
· 김효성, 「근거없는 '학살자 매도'는 안 된다」, 『오마이뉴스』, 2007.06.08.
· 송필경, 「"한국군이 우리 마을 사람들을 죽였습니다"」, 『오마이뉴스』, 2013.09.09.
· 조정훈, 「맹호, 가해의 진실을 말하라」, 『통일뉴스』, 2015.12.05.
· 김남권, 「김현권 "베트남전 한국군 민간인 학살, 정부 공식 사과해야"」, 『연합뉴스』, 2018.03.19.
· 김성재, 「베트남의 과거사, 빈호아 마을에 증오비?」, 『뉴스프리존』, 2018.03.05.
· 조갑제, 「채명신(蔡命新) 장군의 추억과 김대중」, 『조선펍』, 2013.11.26.
· 김광일·송영훈, 「[단독] 참전군 폭로 "베트콩 구별안돼 민간인 총살했다"」, 『노컷뉴스』, 2017.12.26.
· 황보영, 「日 민간단체 '군함도 강제징용' 공개 반박」, 『YTN』, 2017.12.24.
· 신길수, 「[세계는 지금] 한일 위안부 합의와 한일간 민간감정」, 『오피니언』 2018.02.19.
· 정상원, 「문 대통령 “위안부 가해자 일본은 ‘끝났다’ 말해선 안 돼”」, 『한국일보』, 2018.03.01.
· 정규상, 「한-베트남 문화교류 차원 높이고 경제협력까지 확장」, 『한국무역신문』, 2017.12.03.
· 도병욱, 「'베트남 전쟁' 앙금 아직도…」, 『한국경제』, 2016.11.14.
· 송주열, 「하버트 넬슨 PCUSA 서기장, "美 정부 대북정책 봉쇄 아닌 포괄적 방법 찾도록 제안"」, 『노컷뉴스』, 2017.11.06.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한국군의 참전Ⅰ,Ⅱ」, 『베트남전쟁사』,
· http://new.mnd.go.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70434&siteId=imhc&menuUIType=sub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베트남 전쟁이란?」, 정보자료실,
· http://new.mnd.go.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70408&siteId=imhc&menuUIType=sub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제100군수사령부」, 『베트남 전쟁사』
· http://new.mnd.go.kr/user/indexSub.action?codyMenuSeq=70501&siteId=imhc&menuUIType=sub
· 두산백과, 「베트남전쟁」,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558&cid=40942&categoryId=33429
· 두산백과, 「국군파월」,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66768&cid=40942&categoryId=31778
· 두산백과, 「게릴라」,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59108&cid=40942&categoryId=3174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국민보도연맹(사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25218&cid=46626&categoryId=466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제주 4·3사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20321&cid=46626&categoryId=46626.
· 비즈품 서식사전, 「브라운 각서」,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781410&cid=51373&categoryId=51373
· 시사상식사전, 「노근리 학살사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6939&cid=43667&categoryId=43667
· 어린이백과, 「베트남전쟁」, 재미있는 전쟁 이야기,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48537&cid=47307&categoryId=47307
· 어린이백과, 「베트남전쟁」, 처음 세계사 10 – 현대 세계의 냉전과 변화,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613827&cid=47307&categoryId=47307
· Wikipedia, 「Vietnam war」, 『United States war crimes』
· https://en.wikipedia.org/wiki/United_States_war_crimes#Vietnam_War
·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헬리콥터 打擊中隊 창설」, 『동아일보』, 1968.12.11.
·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Date.nhn#%7B%22mode%22%3A3%2C%22trans%22%3A1%2C%22pageSize%22%3A20%2C%22date%22%3A%221968-12-11%22%2C%22page%22%3A1%2C%22officeId%22%3A%2200020%22%2C%22fevt%22%3A76%2C%22publishType%22%3A%2200020%22%7D
· 뉴스라이브러리, 「國軍 「린선」寺 승려 殺害說 眞相」, 『동아일보』, 1969.11.29.
· 청와대 국민청원, 「베트남 민간인 학살 정부차원 사과와 반성」,
· http://www1.president.go.kr/petitions/169570
· 이부영,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buyounglee21/posts/1601327579952190.
· 『무력충돌 희생자 보호에 관한 제네바협약과 추가의정서』,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