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현철, 현대시의 패러디와 장르이론, 태학사, 1997.
·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1993.
· 권택영, 후기구조주의 문학이론」, 민음사, 1990.
· 김영철, 한국 현대시의 좌표, 건국대출판부, 2000.
· 김용직, 한국현대시연구, 일지사, 1974.
·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2.,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구조주의, 현암사, 1991.,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 민음사, 1992.,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6 (편), 바흐친과 대화주의, 나남, 1990.
· 김윤식, 발견으로서의 한국현대문학사, 서울대출판부, 1997.
· 김인환, 상상력과 원근법, 문학과지성사, 1993.
· 김재홍, 한국현대시인연구, 일지사, 1986.
· 김준오, 도시시와 해체시, 문학과 비평, 1992., 현대시의 환유성과 메타성, 살림, 1997. (편), 한국 현대시와 패러디, 현대미학사, 1996.
· 김 현, 미셸푸코의 문학비평, 문학과지성사, 1990.
· 김현자, 시와 상상력의 구조, 문학과 지성사, 1982.
· 김형효,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인간사랑, 1989., 데리다의 해체철학, 민음사, 1993.
· 나병철, 그람시의 여백: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소명, 1999.
· 남기혁, 한국 현대시의 비판적 연구, 월인, 2001.
· 동시영, 현대시의 기호학, 미리내, 2000.
· 문예미학회 (편), 해체론과 맑스주의, 문예미학사, 1999.
· 박인기, 한국 문학의 현대적 전개, 지식산업사, 1999.
· 송기한, 한국 전후시의 근대성과 시간의식, 태학사, 1994.
· 신범순, 한국현대시의 퇴폐와 작은 주체, 신구문화사, 1998.
· 여홍상 (편), 바흐찐과 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1997.
· 오세영, 20세기 한국시 연구, 새문사, 1989., 한국 근대문학론과 근대시, 민음사, 1996.
· 윤호병, 현대시의 아포리아, 청예원, 1999. (외), 후기구조주의, 고려원, 1992.
· 이미순, 한국현대시와 언어의 수사성, 국학자료원, 1997.
· 이숭원, 현대시와 지상의 꿈, 시와시학사, 1995.
· 이승훈, 포스트모더니즘 시론, 세계사, 1991., 해체시론, 새미, 1998. (외),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학비평, 고려원, 1994.
· 이진우 (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서광사, 1993.
· 정끝별, 패러디 시학, 문학세계사, 1997.
· 정정호 (편),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문학, 도서출판 글, 1991., 전환기적 문학과 대화적 상상력, 한신문화사, 1998.ㆍ강내희 (편), 포스트모더니즘의 쟁점, 도서출판 터, 1991ㆍ강내희, 포스트모더니즘론, 도서출판 터, 1989.
· 조주관 (편역), 러시아 현대비평이론, 민음사, 1993.
· 최동호 (편), 새로운 비평논리를 찾아서, 나남, 1990.
· 한계전, 한국현대시론연구, 일지사, 1983.
· 한국기호학회 (편), 문화와 기호, 문학과지성사, 1995.
· 한국문학연구회 (편), 1950년대 남북한 시인 연구, 국학자료원, 1996.
· 홍준기, 라캉과 현대철학, 문학과지성사, 1999.
· Bakhtin, M. M., 송기한 역, 마르크스주의와 언어철학, 한겨례, 1988.
· Bloom, Harold, Deconstruction and Criticism, Routledge & Kegan Paul, 1979.
· Bogdal, Klaus-Michael, 문학이론연구회 역, 새로운 문학이론의 흐름, 문학과지성사, 1994.
· Calinescu, M., 이영욱(외) 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 시각과언어, 1993.
· Callinicos, Alex, 임상훈ㆍ이동연 역, 포스트모더니즘 비판, 성림, 1994.
· Cohen, Ralph ed., The Future of literary theory, NewYork: Routledge, 1989.
· Culler, J., The Pursuit of Signs, NewYork: Cornell Univ. Press, 1981.
· Daval, Jean-Luc, 홍승혜 역, 『추상미술의 역사』, 미진사, 1990.
· Derrida, J., 김보현 편역,『해체』, 문예출판사, 1996., 남수인 역, 『글쓰기와 차이』, 동문선, 2001.
· Eagleton, Terry, 김준환 역, 『포스트모더니즘의 환상』, 실천문학사, 2000.
· Eco, Umberto, 조형준 역, 『열린 예술작품』, 새물결, 1995.
· Esthop, A., 박인기 역, 『시와 담론』, 지식산업사, 1994.
· Eysteinsson, Astradur, 임옥희 역, 『모더니즘 문학론』, 현대미학사, 1996.
· Foster, Hal ed., 윤호병 역, 『반미학 : 포스트모던 문화론』, 현대미학사, 1993.
· Foucault, Michel Paul, 이정우 역, 『지식의 고고학』, 민음사, 1992.
· Genette, Grard, Palimpsests, trans. by C. Newman & C. Doubinsky, Univ. of Nebraska Press, 1997.
· Giddens, A., 이윤희ㆍ 이현희 역, 『포스트모더니티』, 민영사, 1991.
· Harland, Richard, 윤호병 역,『초구조주의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 1996.
· Hartman, J., Deconstruction and Criticism, London:Routledge & Kegan Paul, 1979.
· Harvey, D., 구동회ㆍ박영민 역, 『포스트모더니티의 조건』, 한울, 1994.
· Hassan, Ihab, 정정호ㆍ이소영 편역,『포스트모더니즘 개론: 현대문화와 문학이론』, 한신문화사, 1991.
· Hutcheon, Linda, 김상구ㆍ 윤여복 역,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3., A Poetics of Postmodernism, Routledge, 1988.
· Jameson, Fredric, 강내희ㆍ정정호 역, 『포스트모더니즘-후기자본주의 문화논리』, 터, 1991.
· Kristeva,Julia, Revolution in Poetic Language, trans. by M. Waller, Columbia Univ. Press, 1984.
· Leitch, Vincent B., 권택영 역,『해체비평이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88.
· Moles, Abraham, 엄광현 역, 『키치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1994.
· Norris, Christopher, 이기우 역,『디컨스트럭션-탈구축의 이론과 실천』인동, 1986.
· Rose, A. M., Parody, Cambridge Univ. Press, 1993.
· Silverman, H. ed., 윤호병 역, 포스트모더니즘, 고려원. 1993.
· Toolan, Michael ed., Language, Text and Context, Routledge, 1992.
· Waugh, Patricia, 김상구 역, 『메타픽션』, 열음사, 1989.
· Zima, Peter U., 김혜진 역, 『데리다와 예일학파』, 문학동네, 2001.
· 고석봉, 「패러디 시가 나아갈 방향」, 『오늘의 문예비평』, 1994. 봄.
· 권영민, 「인식으로서의 시와 시에 대한 인식」, 세계의 문학, 1982. 겨울.
· 권택영, (특집)「표절이냐, 문학기법이냐」, 『오늘의 문예비평』, 1993. 여름., 「밀러의 해체비평」, 『현대시사상』5, 1990. 겨울., 「패러디, 패스티쉬 그리고 독창성」, 『현대시사상』13, 1992. 겨울., 「해체주의 문학론」, 현대시사상 2, 1988.
· 김경복, 「자기반영성,혹은 새로운 문학 형식의 예고」, 『오늘의 문예비평』, 1993. 여름.
· 김상환, 「데리다와 은유」, 『은유와 환유』, 문학과지성사, 1997.,우리시와 모더니즘의 변용」, 『현대시사상』, 1995. 여름.
· 김성곤, 「해체이론에 대한 논의」, 『현대시사상』 5, 고려원, 1990 겨울.
· 김성기,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 1993.
· 김용직, 「모색과 충돌, 실험지상주의 - 이상론」, 『모더니즘 연구』, 자유세계, 1993.
· 김욱동, 「은유와 환유의 언어학적 기초」, 『은유와 환유』, 문학과지성사, 1997. , 「포스트모더니즘과 한국 문학」, 『라쁠륨』 16호, 2000. 여름.
· 김윤식, 「작품과 텍스트의 숨바꼭질」, 문예중앙, 1990. 여름., 「해방에서 60년대까지의 시사」,『한국현대시연구』, 민음사, 1989.
· 김인환, 「J.크리스테바의 문학접근방법과 그문제점」, 논총 58집, 이화여대, 1990.
· 김준오, 「도시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4, 1990. 가을. , 「한국 모더니즘 시론의 사적 개관」, 『현대시사상』, 1991. 가을., 「현대시의 자기반영성과 환유원리」, 『작가세계』, 1994. 겨울.
· 김진석, 「패러디냐 자살이냐」, 『문학과 사회』, 1993. 가을.
· 김효중, 「한국현대시비평과 해체주의이론」,『한국현대시의비교문학적연구』, 푸른사상, 2000.
· 도정일, 「시뮬레이션 미학, 또는 조립문학의 문제와 전망」, 『문학사상』, 1992. 7., 「퇴행문화시대의 예술-파편화와 나르시시즘」, 세계의문학, 1994봄.
· 류순태, 「1960년대 김춘수 시의 창작 방법 연구」, 『한국시학연구』 제3호, 한국시학회, 2000.
· 문광영, 「한국 현대 난해시에 관한 연구」, 인천교대논문집 20집, 1986. 4.
· 문선영, (특집)「패러디, 모방에서 창조로」, 『문학과 사회』, 1993. 가을.
· 박봉희, 「포스트모더니즘과 아이러니」, 『현대시사상』, 1989. 여름.
· 박상배, 「메타시의 희극성, 전인성」, 현대시사상, 1997. 봄., 「일상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1990. 가을. , 「표절의 미학」,현대시사상8, 1991.가을., 「해체시란 무엇인가」, 현대시사상, 1988.
· 서준섭, 「순수시의 향방 - 1960년대 이후의 김춘수의 시세계」, 작가세계33, 1997. 여름.
· 신범순, 「무화과 나무의 언어」, 작가세계33, 1997. 여름.
· 신익호,「패러디유형의 개념고찰」, 『한국현대시연구』, 한국문화사,1999.
· 엄국현, 「무의미시의 방법적 이해」, 『김춘수연구』, 학문사, 1982.
· 오규원, 「김춘수의 무의미시」, 현대시학, 1973.6. , 「날(生)이미지와 현상시」, 현대시사상, 1997. 봄.
· 오생근, 「자동기술과 초현실주의적 이미지의 의미와 특성」, 『인문논총』 27집, 1992. 6.
· 오세영, 「김춘수의 <노래>」, 문학예술, 1991.6., 「현대시 연구의 현황」, 시문학, 1990.9.
· 원형갑, 「김춘수와 무의미의 기본구조」, 현대시논총, 형설출판사, 1982.
· 윤자정, 「포스트모더니즘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미학 제15집,1990.
· 윤호병, 「데리다의 반인간주의」, 현대시사상, 1990. 여름., 「텍스트, 텍스트성, 상호텍스트성」, 『현대시사상』, 1992. 여름., 「해롤드블룸의 해체비평」, 현대시사상, 1990. 겨울., 「흔적의 남김과 원본의 소멸」, 현대시사상, 1997. 봄.
· 이경희, 「시적 언술에 나타난 한국현대시의 병렬법 연구」, 이화여대 박사, 1989.
· 이미순,「김춘수의<꽃>에 대한 해체론적 독서」,『오당조항근 화갑기념논총, 보고사, 1997.
· 이성원, 「해체의 철학과 문학비평」,현대비평과이론8호, 한신문화사,1994.
· 이숭원, 「생명의 속살, 죽음의 그늘」, 현대시, 1993. 12. , 「인간존재의 보편적 욕망」, 시와 시학, 1992. 봄.
· 이승훈, 「메타시의 유혹과 전망」, 『시와 사상』, 1996 봄. , 「비대상과 해체」,현대시사상8,고려원, 1991가을., 「비대상시」 『시문학』, 1981. 10., 「해체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1990. 가을. ·박상배·김준오, (좌담)「메타시, 새로운 시대의 글쓰기」, 『현대시사상』, 1996. 여름.
· 이영걸, 「고백시와 포스트모더니즘」, 『현대시사상』, 고려원, 1990 가을.
· 이인영, 「반텍스트와 반복의 기호학」, 러시아연구 서울대 러시아연구소, 1994.
· 이재룡, 「파라텍스트의 세계. 창작과 명명」, 『작가세계』, 1992. 여름.
· 이정호, 「21세기는포스트모던시대이다」, 라쁠륨16, 2000.여름.
· 이진우, 「문학매체의 이동현상」, 『문학정신』, 1992. 11.
· 이진흥, 「일상성의 파기」, 문학과 언어 제1집, 1980.
· 이태동, 「폴 드 만의 해체이론과 그 실체」, 『현대시사상』, 1990. 겨울.
· 이형권, 「해체시의 자의식과 서정」, 한국시문학제11집, 한국시문학회, 2001. 10.
· 이형기, 「상상력의 영구혁명」, 『현대시사상』, 1991. 가을.
· 이형식, 「이질적 장르의 합성과 패러디」, 『문학과 사회』, 1993. 가을.
· 이혜원, 「시적 해탈의 도정」, 『1950년대의 시인들』,(송하춘 ㆍ이남호 편), 나남, 1994.
· 장정일, 「인공시학과 그 계보」, 세계의 문학, 1992 봄.
· 정정호,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무엇이었던가?」, 『라쁠륨』 16호, 2000. 여름.
· 정효구, 「우리시의 해체주의」, 현대시사상2, 고려원, 1988.
· 조남현, 「난해시 배경론」, 『문학과 정신사적 자취』, 이우출판사, 1984. , 「현상학적 시론 서설」, 『문학과 정신사적 자취』, 이우출판사, 1984.
· 진순애, 「한국 현대시의 실험시 계보」,개신어문연구14집, 충북대, 1997.
· 채규판, 「김춘수,문덕수,송욱의 실험정신」, 『한국현대비교시인론』, 탐구당, 1982.
· 최문규, 「아방가르드(모더니즘)」, 『현대시사상』, 1994. 가을.
· 한계전, 「50년대모더니즘시의가능성」, 『1950년대 한국문학연구』,보고사,1997., 「전후시의 모더니즘적 특성과 그 가능성」, 『한국전후문학의 형성과 전개』, 태학사, 1993.
· 황지우, (특별좌담)「새로운 현실의 문학적 조건」, 『오늘의 시』, 1992.
· Bannet,E. T., 「데리다의 해체전략」(김영희 역), 현대시사상, 1990. 가을.
· Culler,J., 「데리다의 해체주의」(김영희 역), 현대시사상,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