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호민, 「방어기제를 통한 성격이해와 상담기법에 대한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2, p.5
· 구본권,「방어기제에 관한 고찰」, 『論文集』, 25(1), 강남대학교, 1994, p.274
· 김재은, 김정규, 박영숙, 이근후, 「이화방어기제 검사 표준화 연구」, 『신경정신의학』, 30(3), 대한신경정신의학회, 1991, p.583
· 구본권, 「방어기제에 관한 고찰」, 『論文集』, 25(1), 강남대학교, 1994, pp.273-304
· 김재은 외3, 『이화방어기제검사 실시요강』, 서울: 하나學社醫, 1991. 이우경,이원혜, 『심리 평가의 최신 흐름』. 서울: 학지사, 2012, pp.455-488,
· 이은주, 「방어기제 이해의 발전에 관한 연구」, 국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p.7
· 김재은, 이근후, 김정규, 박영숙, 『이화방어기제검사 실시요강』, 서울: 하나 醫學社, 1991.
· 김재은, 이근후, 김정규, 박영숙, 『이화방어기제검사 실시요강』, 서울: 하나 醫學社, 1991.
· 채연숙, 『글쓰기치료- 이론과 실제』,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p.16
· Adams, K., 『Journal to the Self』 Boston, MA: Warnerbooks, 1999, pp.6-12
· Freud, S., 「The Neuro-Psychoses of Defence」, in J. Strachey(Ed. And Trans.),『The Standard Edition of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3,London: Hogarth Press, 1894, pp.41-61,
· Vaillant, GE. 「Empirical studies of ego mechanism of defense」.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press Inc, 1986, pp. 1-31.
· Bond, M., Gardner, S. T., Christian, J. & Siegel, J. J., 「Empirically study of self-rated defense style」, 『Archived of General Psychiatry』, 40(3), 1983, pp. 333-338
· Brenner, C., 『Psychoanalytic technique and psychic conflict』.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Inc, 1976. pp. 137-194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 Washington, DC: Author, 1994, pp. 751-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