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간호교육은 간호학생이 간호사의 역할 수행에 필요한 모든 이론적 지식과 실제 간호상황에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하고 임상실습을 통해 간호 실무를 습득하는 과정으로(Ha, choi, 2005). 임상실습은 이론교육과 함께 간호교육에서 필수적 요소이다(Kim, 2002). 또한 임상실습교육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학교가 아닌 임상현장에서 실무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중요한 학습기회와 간호전문가로서의 역할을 관찰하고 경험해 볼 수 있는 현장교육이다(Hyoung, 2014). 간호학생의 진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진로만족, 진로정체감 등이 있으며 Kim, J. H.(2013)의 연구에서는 진로만족의 영향요인 중의 하나가 실습만족이었고, Kwon과 Choi (2010)의 연구에서는 진로정체감에 실습 만족도가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개인이 가지고 있는 진로에 대한 확신의 정도를 진로정체감이라고 정의하고, 이는 직업에 대한 자신의 목표, 흥미, 능력에 대해 얼마나 잘 인지하고 있는지를 의미 한다고 설명하였다.
· 유진홍외(1996). APACHE Ⅲ를 이용한 내과 중환자실 환자의 질병 중증도 평가. 대한내과학회지;50(3). 392-352. 1990
· 박경숙, 황윤영, 최은희, “간호학생의 중환자실 임상 실습 체험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 15권, 제 3호 PP.373-382, 2003
· Kim, G. J. A serious care and role of nurse. Life Nurse, 9 , PP.44-45, 1991
· 양진주, “임상실습시 간호학생이 지각하는 간호 가치관과 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 6권, 제 2호, PP.276-286, 2000.
· 방경숙, 조진경, “일개 간호대학생과 졸업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PP.88-97, 2008
· 양진주, “일개대학 간호 학생의 중환자 간호 수행 능력과 간호지식 및 실습만족도의 관계. 한국콘텐츠 학회논문지, 11(12), PP.998-1006, 2011
· Benner, P. Issues in competency-based testing. Nursing Outlook, 30, PP.303-309. 1982
· 이애경, 유혜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영향요인“, 간호학행정학회지, 21(2), PP. 154-163 2015
· 방경숙, 조진경, “일개 간호대학생과 졸업생의 전공 및 진로에 대한 인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PP. 88-97, 2008
· 장금성, “간호사의 임상경력개발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박사학위 논문.
· 허미래, 이가현,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에 대한 연구. 이화간호학회지, 49, PP.152-165. 2015
· 정기수, 주현옥,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유형 및 진로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근관절건강학회지, 22(3), 2015.
· Ha NS, Choi M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self-esteem,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1(1):13-21, 2005
· Kim H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6(1):64-76, 2002
· Hyoung HK, Ju YS, Im SI. A concept mapping study on clinical stress for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4):394-404.
·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4.394, 2014
· Kim SM, Hwang TY. Comparison of stress levels arising in clinical settings, stress coping mechanisms and clinical competency between male and femal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606-616. 2014
· Lee ES, Kim JS, Effects of Clinical Practicum Reinforcement Program on Nursing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in the ICU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7 No. 2, 262~274, 2011
· 조결자, 강현숙, “일부 간호대학생의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도와의 관계”, 간호학회지,14(2), PP63-74, 1984
· 김대현, 마취가 수술환자 간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임상적 관찰 국내학술지논문 대한마취과학회 [1983] (Hospital Nurse Association. A study of the optimal nursing manpower based o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The Korean Nurse, 31(40). 181-3.), 1992
· 배경희, 정인숙, “중환자실 내 간호시술에 대한 간호사의 통증인식과 환자의 통증반응”,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4), 437-445. 2014
· 박형숙, 김경남, “일개 신설 대학교 병원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의 적응 경험“, 기본간호학회지, 18(2), 22.226-236,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