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016년 홍익대학교 <논리적사고와 글쓰기> 수업 자유주제로 제출했던 레포트입니다.
탄탄한 자료조사와 완결도 있는 구성으로 레포트 점수 A+를 받았습니다.
기존 성교육 표준방안을 짚어가며,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내용입니다.
목차
I. 들어가며
II. 현 우리나라 성교육의 문제점
1. 성교육 표준안의 잘못된 내용
2. 성교육 표준안의 부실한 내용
III. 올바른 성교육을 위한 개선방안
1. 성교육 표준안의 개선
2. 성교육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 변화
IV. 마치며
본문내용
I. 들어가며
최근 들어 우리 한국 사회에서도 성(性)에 대해 개방적인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요즘의 미디어에서 성에 대한 언급을 자유롭게 하는 장면들만 보아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이렇게 성에 대한 생각과 행동이 빠르게 개방적으로 변해가는 데에 반해 성적 지식과 성교육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점점 뒤쳐져가고 있다. 이는 곧 혼전 임신, 미혼모, 낙태 등의 옳지 못한 현상과 성범죄가 범람하는 문제로 이어진다.
특히 뒤쳐진 성교육의 실태는 학생들 사이의 성범죄 사건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는 사실에서 잘 알 수 있다. 단편적으로 경상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2016년) 학생 성범죄는 8월 기준으로 59건이 발생했고, 그 유형은 성추행(48건), 성희롱(6건), 성폭행(4건), 사이버상 성범죄(1건) 등으로 다양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에 앞서 2014년에는 104건, 2015년에는 96건이 발생하였는데, 2013년에 31건이 발생한 데 비하면 최근 들어 학생 성범죄가 부쩍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좋지 않은 사회적 흐름을 완화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방안은 바로, 올바른 성교육을 통해 올바른 성관념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성’교육’이라는 것은 물론 학교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을 통해서, 혹은 주변인들을 통해서, 스스로 알아봐서 등 많은 방면으로부터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는 아이들이 처음 정식으로 배움을 얻는 ‘학교’에서의 성교육을 중심으로, 현 성교육의 문제점과 그에 투과되는 올바른 성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본 뒤, 개선 방안까지 제시해보고자 한다.
II. 현 우리나라 성교육의 문제점
교육부는 2015년 학교에서의 성교육 강화를 위해 ‘국가 성교육 표준안’을 제작하여 학교들에 배포했다.
참고 자료
김대유, 「국가수준 학교성교육표준안의 쟁점과 논의」, 『한국보건교육학회지』, 한국보건교육학회, 2016.
권수현, 「남성성과 성폭력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청소년 성폭력 가해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1998.
김혜원•이종민, 「청소년들을 위한 학교 성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나아가야 할 방향」, 『청소년학연구』 Vol.8 No.1, 한국청소년학회, 2001.
보건복지부, <성관계 시작 연령>부분,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2015. www.mohw.go.kr.
여성가족부, <성교육 여부>부분, <피임 여부>부분,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 2014. www.mogef.go.kr.
+) 이외 7개 뉴스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