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학점,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분석 및 감상
- 최초 등록일
- 2020.01.30
- 최종 저작일
- 2020.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800원

- 10,000원
- 100 page
- PDF 파일
- 상세 보기
소개글
"64. A+학점,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분석 및 감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책소개
2. 저자 소개 : 토마스 쿤
3. 분석 및 감상
본문내용
[분석 및 감상]
토마스 쿤은 패러다임을 “어느 일정한 시기에 전문가 집단에게 모형 문제와 풀이를 제공하는 보편적으로 인식된 과학적 성취들”이라고 한다. 패러다임은 어느 일정한 시기, 전문가 집단, 모형문제와 풀이, 보편적으로 인식된, 과학적 성취라는 4가지 명제로 설명된다. 어느 일정한 시기란 결국 시간이 흐르면 패러다임도 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설명하며, 패러다임이 불변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말한다. 전문가 집단이란 결국 일반인들이 과학을 어떻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연구하는 전문가 집단이 받아들여야만 패러다임이라는 것이 성립되고,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보편적으로 인식된다는 것은 결국 기존의 패러다임에 부적합한 사실들이 발견되더라도 일부만이 인식한다면 변화를 초래할 수 없다. 그러나 그것이 보편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널리 인정된다면 새로운 패러다임이라고 부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과학적 성취란 결국 기존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킬 수 있는 성취, 가정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인식하며 기존의 패러다임을 과감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어떤 것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인용]
- 정당한 과학적 문제와 방법의 본질에 대해서 사회과학자들 사이의 공공연한 의견 대립이 대단한 것에 나는 충격을 받았다. 과학의 역사와 그러한 인식은 둘 다 나로 하여금, 자연과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사회과학 분야의 동료들보다 그런 질문에 대한 보다 확고하고 영속적인 답변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의심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어쨌든 천문학, 물리학, 화학, 또는 생물학의 과학 활동은 오늘날의 심리학자나 사회학자들이안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기본적인 문제들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차이의 근원을 찾아내려는 시도로 말미암아 나는 ‘패러다임(paradigm)'이라고 그때부터 불러온 것이 과학적 탐구에서 지니는 역할에 관하여 깨닫게 되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