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론- 옛날 노래들의 현대적 공감
- 최초 등록일
- 2020.01.11
- 최종 저작일
- 2009.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Ⅰ. 머리말 - 라디오 풍경 및 기호와 분포
Ⅱ. 방송원고
Ⅲ. 맺음말
본문내용
우리나라의 라디오 프로그램 중 최고 청취율을 가진 프로그램의 청취율이 15%내외다. 전체적인 청취율을 대략 10%에 가깝게 본다고 하더라도 5천만 대한민국 국민의 10%면 500만 정도가 라디오를 듣는다고 볼 수 있다. 24시간 어느 때나 들어도 우리와 함께하는 라디오는 연령층이 10대 청소년부터 노년층까지 다양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그 해당 연령층이 들을 시간에 맞춰서 프로그램의 진행 스타일도 변하고 있다. 예전 엽서와 편지지를 예쁘게 꾸며 우체통에 넣고 자신의 사연이 나오길 기다리던 청취자들도 인터넷과 휴대전화 문자로 자신의 이야기를 보내 바로 듣고 라디오를 진행하는 모습도 볼 수 있는 새로운 라디오 문화가 정착됐다. 다뤄지는 프로그램도 연령층에 맞는 대중가요, 외국의 팝송, 클래식, 찬송가, 국악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틀어주고 있다. 라디오를 통해 자신이 모르던 것을 아는 경우도 많다. TV는 자신이 원하는 곳으로 채널을 돌리기 쉽지만, 라디오는 그 특정 주파수 채널에 애착을 가지며 한 주파수에 맟춰 놓고 해당 시간대에 자신이 원하는 프로를 듣는 것이다.
이에 이번 과제에서는 고전시간의 작품을 소개 혹은 신청곡 형식으로 라디오에 방송되는 형식의 원고를 쓰려 한다. 고전시가라 해도 작품 내 정서는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과도 비슷한 감정의 류가 있으며, 작품이나 그 작가가 익숙한 것도 적지 않다. 그래서 작품에 대한 약간의 설명이 들어가면 작품에 대한 쉬운 이해가 가능하다. 방송은 1시간정도의 길이로 설정했으며 원고의 폼은 시간분량에 상관없이 주로 저녁이나 야간에 송출되는 라디오 방송들의 형식을 참고했지만, 방송 원고는 1시간 분량이 아닌 프로그램의 한 코너에 해당하는 분량의 원고임을 밝힌다. 작성 중 중간에 노래같은 선곡이 들어가는 경우에는 여기서는 문단의 칸을 벌려 중간에 노래가 들어갈 텀으로 분류를 해놨다. 여러 라디오 프로그램을 참고하긴 했지만 제목은 임의로 필자가 지었음을 밝히며, 참고 프로그램은 뒤에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참고 자료
임종욱, 『우리의 고전시가Ⅰ』, 나무아래사람, 2002
바람의 나라 OST - 황조가(2008. 11. 26. 검색)
http://blog.naver.com/epicofwinds?Redirect=Log&logNo=140057854465
황조가 원문(2008. 11. 26. 검색)
http://100.naver.com/100.nhn?docid=173897
《이근철의 굿모닝팝스》, KBS 2FM, 06:00 ~ 07:00 방송
《정지영의 스위트뮤직박스》, SBS 파워FM, 24:00~02:00 방송
《이병희의 뮤직하이》, SBS 파워FM, 02:00~03:00 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