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단행본
· - 이병도, 1961, 한국사 (중세편), 을유문화사
· - 이기백, 1968, 고려병제사연구, 일조각
· - 변태섭, 1971, 고려정치제도사연구, 일조각
· - 이기백 編, 1991, 한국사시민강좌 8, 일조각
· - 1991, 조선통사 (상), 사회과학출판사
· - 민병하 外, 1993, 한국사 18 - 고려무신정권, 국사편찬위원회
· - 1994, 한국사 5, 한길사
· - 1995, 한국역사입문 2 (중세편), 풀빛
· - 김당택, 1999, 고려의 무인정권, 국학자료원
· 2. 논문
· - 尹瑢均, 1930, [高麗毅宗朝における鄭仲夫亂の素因とその影響], {靑丘學叢} 2 ; 1933, {尹文學士遺稿}, 朝鮮印刷株式會社
· - 김상기, 1948, [고려무인정치기구고], {동방문화교류사논고}, 을유문화사
· - 민병하, 1974, [최씨정권의 지배기구],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 - 변태섭, 1974, [무신란과 최씨정권의 성립], {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 - 정두희, 1977, [고려 무신집권기의 무사집단], {한국학보} 8
· - 旗田巍, 1978, [高麗武人の政權爭奪の形態と私兵の形成], {古代東アジア史論叢} (上), 吉川弘文館
· - 김윤곤, 1978, [고려 무신정권시대의 교정도감], {영남대학교 문리대학보} 11
· - Edward J. Shultz, 1979, Military Revolt in Koryo : The 1170 Coup'd'Etat, Korean Studies 3
· - 김의규, 1981, [고려 무인정권기 문사의 정치활동], {한우근정년기념사학논총}
· - 장숙경, 1981, [고려 무인정권하 문사의 태도와 성격], {한국사연구} 34
· - 하현강, 1981, [고려 의종대의 성격], {동방학지} 26
· - 나만수, 1987, [고려 무인정권기의 국왕과 문반], {진단학보} 63
· - 박창희, 1987, [이규보의 본질에 대한 연구], {외대사학} 창간호
· - 김당택, 1988, [최자의 '보한집' 저술동기], {진단학보} 35
· - 김한규, 1989, [고려 최씨정권의 진양부], {동아연구} 17
· - 박창희, 1989, [이규보의 본질에 대한 연구] 2, {외대사학} 2
· - 이재범, 1989, [최씨정권의 성립과 산천비보도감], {성대사림} 5
· - 나만수, 1990, [고려 명종대 무인정권과 국왕], {성대사림} 5
· - 박종기, 1990, [12,13세기 농민항쟁의 원인에 대한 고찰], {동방학지} 69
· - 박창희, 1990, [이규보의 본질에 대한 연구] 3, {외대사학} 3
· - 김당택, 1993, [고려 의종대의 정치적 상황과 무신란] , {진단학보} 75
· - 채웅석, 1993, [의종대 정국의 추이와 정치운영], {역사와 현실} 9
· - 신수정, 1997, [고려후기의 재상제도], {이현희교수화갑기념 한국사학논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