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영화장르 ] 공포영화의 모든 것

공포영화에 대한 심리적, 문화적, 역사적 분석 및 장르분석까지 망라한 리포트입니다. 또한, 한국공포영화 발전을 위한 전략적 제언까지 작성하였습니다. 비록 참고문헌에 나와있지는 않지만 공포영화와 관련된 최근 자료들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말 열심히 해서 만들어서 A+받은 자료인 만큼 자료받으시는 분에게도 유용하리라 확신합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행복하세요
5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08.10 최종저작일 2003.08
50P 미리보기
[영화장르 ] 공포영화의 모든 것
  • 미리보기

    소개

    공포영화에 대한 심리적, 문화적, 역사적 분석 및
    장르분석까지 망라한 리포트입니다.
    또한, 한국공포영화 발전을 위한 전략적 제언까지
    작성하였습니다.

    비록 참고문헌에 나와있지는 않지만
    공포영화와 관련된 최근 자료들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정말 열심히 해서 만들어서
    A+받은 자료인 만큼
    자료받으시는 분에게도
    유용하리라 확신합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행복하세요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공포에 대한 이해
    1. 공포심리의 발생 - 생리적 측면
    2. 공포의 기원에 대한 논란 - 공포에 관한 실험
    3. 공포심리의 역할

    Ⅲ. 공포영화의 특징
    1. 공포영화의 개념
    2. 공포영화에 대한 문화적 해석
    3. 동서양 공포문화의 차이 - 귀신과 악마
    4. 공포영화의 내적 특성 - 내적 장치

    Ⅳ. 공포영화의 장르분석
    1. 슬래셔 영화
    2. 스플래터 영화
    3. 좀비영화
    4. 뱀파이어 영화
    5. 미이라
    6. 동물공포영화
    7. 귀신

    Ⅳ. 공포영화의 발달
    1. 서양 공포영화의 발달
    2. 동양 공포영화의 발달
    1) 한국 공포영화의 발달
    2) 일본 공포영화의 발달

    Ⅵ. 최근 공포영화의 추세
    1. 동서양 공포영화의 현재 추세 및 관습비교
    2. 최근 한국 공포영화의 흥행분석
    1) 장화홍련의 성공분석
    2) 여고괴담 시리즈의 성공분석

    Ⅶ. 한국공포영화에 대한 전략적 제언
    1. 다양한 마케팅 기법의 도용
    2. 어설픈 서구 영화의 모방 지양
    3. 현실적인 공감대를 형성에 주력

    Ⅷ. 마치며

    Ⅸ.부록
    1. 할리우드 영화의 법칙
    2. 영화속의 괴담

    본문내용

    박스오피스 이그지비션 대표인 폴 데가라베디언은 "호러는 영원히 지속될 수밖에 없는 장르다. 호러영화는 절대적인 팬층이 있다. 흥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호러는 최종 탈출구가 될 수 있다”라고 말하며, 공포영화를 망하지 않는 산업이라고 분석했다. 해마다 여름이면 어김없이 개봉되는 공포영화들은 인간 의식의 심연 저 너머에 잠자고 있던 공포들을 끌어내고, 스크린을 희생양의 피와 비명으로 적시곤 한다. 그런데 공포영화에 대한 국내적 인식은 주류가 아닌 B급 영화 또는 일부 매니아 층을 거느린 컬트적 개념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공포영화는 영화사의 초기부터 있었으며, 돌이켜 보면 블록버스터의 원조영화이기도 했다. 1974년 윌리엄 프리드킨의 호러영화 <엑소시스트>는 1973년 <대부>가 기록한 흥행수입 8600만달러를 경신했고 1975년 스티븐 스필버그의 <죠스>가 1억2900만달러로 <엑소시스트>의 8900만달러 흥행기록을 깨트렸다. 조지 루카스의 <스타워즈>가 나오기 전까지 2년간 <죠스>의 흥행기록은 깨지지 않았고 할리우드는 이후 본격적인 블록버스터 시대를 맞게 된다. <죠스>를 블록버스터의 출발점으로 보는데는 북미지역 흥행수입 1억달러를 넘은 최초의 영화라는 점이 주요하지만 전부는 아니다. TV광고료로 70만달러를 지출한 <죠스>는 미국 내 409개 극장에서 개봉하여, 개봉극장 수와 흥행수입의 비례관계를 만들어냈다. 이후 헐리우드는 공포영화에 비중있는 스타들을 등장시키고, 놀랄만큼 발전한 CG를 삽입하고 있으며, 최근엔 서양 공포물에 대한 소재와 자극의 한계로 인해서 동양 공포물에 대한 리메이크 붐이 일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공포영화는 흥행성이 어느정도 보장되는 장르라는 특성 외에 사회·문화적인 담론을 담고있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공포영화는 사회·문화적인 경향이나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기에, 역사나 종교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공포영화를 심리적·문화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알아봄으로써, 최근의 공포 경향을 유추해 보고자 한다.

    참고자료

    · http://www.cine21.co.kr/kisa/sec-001200200/2001/09/010904105046011.html
    · - (케케묵은 할리우드 공식 15가지)
    · http://www.cine21.co.kr/kisa/sec-002100101/2002/06/020621113215123.html
    · - (한국영화 제작현장 미스터리 X파일)
    · http://www.cine21.co.kr/kisa/sec-002100100/2003/06/030626165632109.html
    · - (할리우드로 가는 아시아 공포영화들 )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301&docid=149010
    · - (한국 공포영화와 서양공포영화와의 차이)
    · http://www.cine21.co.kr/kisa/sec-002200207/2003/07/030703114906076.html
    · - (수미의 내면 대신 다리에 탐닉하는 <장화, 홍련>)
    · http://www.cine21.co.kr/kisa/sec-002100102/2001/09/010907100826126.html
    · - (무섭거나, 우습거나 촌티괴물 구경가자 )
    · http://www.cine21.co.kr/kisa/sec-004100101/2003/05/030507143159082.html
    · - (마음이 없는 악마 <할로윈>)
    · http://www.cine21.co.kr/kisa/sec-001100100/2003/05/030528091135002.html
    · - (공포영화 홈페이지에서 먼저 본다.)
    · http://search.hani.co.kr/data/cine21/1999/0615/1205140235.html
    · - (스크림2를 통해 본 공포영화 속편의 법칙)
    · http://www.cine21.co.kr/kisa/sec-002100101/2002/06/020621110547118.html
    · - (괴담의 해외 사례들)
    · 한겨레21 커버스토리 2001년8월14일 제372호 "공포의 사회학"
    · http://search.hani.co.kr/data/cine21/1999/0727/1211155544.html
    · http://www.cine21.co.kr/kisa/sec-002200205/2003/06/030618153048067.html
    · - (공포심의 노예가 될래, 말래)
    · http://www.cine21.co.kr/kisa/sec-002100100/2003/08/030808135938090.html
    · http://www.cine21.co.kr/kisa/sec-002200207/2003/07/030703114906076.html
    · http://www.hhicine.com.ne.kr/4-koreahorror.htm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315&docid=3224 (최초의 공포영화)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ir_id=301&docid=126069 (공포영화의 장르분석)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3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