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 대중음악의 공존
- 최초 등록일
- 2019.12.09
- 최종 저작일
- 2018.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이용하시는 한글프로그램 버전이 낮은 경우에는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한글 뷰어 프로그램 또는 상위버전 으로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시와 대중음악
3. 시처럼
4. 노래처럼
5. 마치며
본문내용
1. 들어가며
대부분의 문명권에서 시와 노래라는 말이 크게 구분되지 않던 때가 있었다. 마치 우리 민족이 하늘의 색과 바다의 색을 모두 “푸르다”라고 하는 것처럼 말이다. 분명 “푸른 하늘”이라고 할 때의 색과 “푸른 바다”라고 할 때의 색은 엄연히 다르다. 색맹이 아닌 이상 그걸 모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다만 다르지만 뭔가 하나로 아우러지는 느낌. 단지 비슷하다는 것을 뛰어넘어 본질을 공유하고 있는 것 같다는 느낌. 그렇기 때문에 “푸르다”라고 부르는 것은 아닐까.
서로 다르지만 같은 하늘과 바다의 푸름처럼. 많은 시대와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시는 곧 노래였고, 노래는 곧 시였다. 상징이나 은유적인 표현으로서 그럴 뿐 아니라, 실제로 그런 경우도 많았다.
시와 노래가 하늘과 바다의 “푸름”처럼 하나의 이름으로 불리던 기원을 찾아보려 한다면 중세 유럽 무렵이 적절하다. 1500년 전에 남프랑스 지역에서는 자국어로 된 시에 노래를 붙여서 부르는 직업적인 예인들이 생겨났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