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실험 MIC 측정 결과 보고서(부경대학교 생물공학과 미생물학 실험 A+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9.11.03
- 최종 저작일
- 2018.03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미생물학 실험 MIC 측정 결과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험재료
2. 실험과정
3. 추가 실험 원리
4. 실험결과
5. 고찰
6. 출처
본문내용
실험재료
에탄올, 알코올램프, 균주 (E.coli), stock solution(Ampicillin, Chloramphenicol, Kanamycin)을 희석 해놓은 용액, control 용액, 고체 배지, soft agar, paper disk, 핀셋, 피펫, 피펫 팁
실험과정
(1) 균 접종
1. clean bench 내부를 에탄올로 닦고, 알코올램프를 킨다. 손도 에탄올로 소독한다.
2. 가열해서 액체 상태인 soft agar에 준비해둔 균을 100μl(1%) 접종하고, 골고루 섞어준다.- soft agar : 0.8% 정도의 agar를 넣은 고체 배지, 녹는점이 일반 고체 배지에 비해 낮음- 접종시에 soft agar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굳고, 너무 높으면 균이 죽으므로 너무 높지도 낮지도 않은 온도에서 균을 접종한다.
3. 균이 접종된 soft agar를 고체배지위에 부어준다.- 균이 고체배지에 골고루 퍼진 상태가 됨
4. 상온에서 soft agar가 다 굳은 후에 사용한다.
참고 자료
생명과학대사전, ‘ampicillin’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692889&cid=42411&categoryId=42411
생명과학대사전, ‘chloramphenicol’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1847&cid=42411&categoryId=42411
생명과학대사전, ‘kanamycin’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431423&cid=42411&categoryId=42411
(사)한국미생물학회 / (2011), [Microbiology 미생물학 1판], 범문에듀케이션, 805, 810~812
김영권 외 33인 / (2010), [최신 병원미생물학], 수문사, 114
T.J.J. INGLIS / 오향순 외 3인 역 (2009), [미생물과 감염관리], 정문각, 241~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