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기본간호학 다제내성균 레포트

"기본간호학 다제내성균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10.22 최종저작일 2019.03
8P 미리보기
기본간호학 다제내성균 레포트
  • 미리보기

    소개

    "기본간호학 다제내성균 레포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제점 분석 후 도출
    2. 문제점에 대한 이유, 근거
    3. 감염 관리 방법 : 의료인 측면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슈퍼 박테리아라고도 불리는 다제내성균은 여러 종류의 강력한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병원체로, 최근 의료계의 중요한 화제 중의 하나이다. 다제내성균에는 VRSA, VRE, MRSA, MRPA, MRAB, CRE 가 대표적인데 이 6가지가 모두 강한 항생제에 내성을 지녔고, 해당균 검출 시에는 바로 보건당국에 보고해야 할 중대한 병균이다.
    다제내성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공중 보건 분야 최대 위협 중의 하나로, 매년 전 세계 약 70만 명이 항생제 내성으로 사망하며 그 수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항생제 내성률은 다른 국가보다 높은 편이다. 2017년을 기준으로, 한국의 다제내성균 감염자 수가 10만 여명에 이르며, 그 중 90일 이내에 사망한 대상자의 수는 약 4천여 명에 달한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다제내성균에 대한 대처는 사실상 부족하다. 항생제에 대한 내성은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반면에 이에 대응할 새로운 항생제의 개발은 더디다. 우리나라에 수입된 항생제의 종류가 턱없이 부족한 탓에 다제내성균에 대응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시장 가격이 낮게 책정됨에 따라 비급여 처리되어 출시되지 못하고, 자원 및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내의 항생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의료기관 내에서 다제내성균이 전파되기 쉽지만 그에 대한 방안은 부족하다. 혹은 대상자가 항생제를 처방대로 복용하지 않아 스스로 내성을 키우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항생제 사용률은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인데 이것은 빈번하게 발생하는 항생제의 남용 때문이다.
    병원에서는 항생제의 사용이 두드러지고, 다인실의 사용과 간호 행위 등을 통하여 사람과 사람간의 접촉이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병원이 다제내성균의 진원지라고도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다제내성균의 발생과 전파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문 의료인들의 개선이 우선이라고 생각된다.

    참고자료

    · 정두련, 「의료 관련 감염의 전파 경로와 예방」, 대한내과학회지 제 93권 제 4호, 2018, 317-324쪽
    · 박선희, 「의료기관에서의 다제내성균 관리」, 대한의사협회지 제 61권 제1호, 2018, 26-35쪽
    · 김지희, 「중환자실 간호사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제 27권 제 3호, 2015, 325-336쪽
    · 「다제내성균감염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2012, 2-9쪽
    · 허지연, 「다제내성균 MRSA의 통계」, 대한임상병리사협회 종합학술대회 초록집, 2014, 49쪽
    · 「2019년도 의료관련감염병(VRSA.CRE) 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2019, 3-15쪽
    · 송경애, 최신 기본간호학1, 수문사, 2019년, 294,295,297,298,299쪽
    ·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질병관리본부, 2017.07.28.
    · Otter JA, Yezli S, Salkeld JA, French GL. “Evidence that contaminated surfaces contribute to the transmission of hospital pathogens and an overview of strategies to address contaminated surfaces in hospital settings.” Am J Infect Control 2013; 41(5 Suppl):S6–S11..
    · Carling PC, Parry MF, Von Beheren SM; “Healthcare Environmental Hygiene Study Group. Identifying opportunities to enhance environmental cleaning in 23 acute care hospital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8; 29:1–7.
    · 김동숙, 「항생제 사용량 심층분석 및 내성정보 연계방안 검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7, 10-145쪽
    · 구현숙,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 감염관리지침 안내」, 질병관리본부, 2012.03.30., 1-4쪽
    · 항생제 내성 예방, <보건복지부>, 2017.11.14.,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2824
    · “다제내성균”, <질병관리본부>, 2019.06.20., http://www.cdc.go.kr/menu.es?mid=a20401070405
    · “Antibiotic resistance”, <WHO>, 2018.02.05.,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antibiotic-resistance
    ·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질병관리본부>, 2012.10.02., http://www.cdc.go.kr/gallery.es?mid=a20503030000&bid=0004&act=view&list_no=139454
    · “의료관련감염병, 깐깐하게 챙기는 관리지침 나왔다.”, <질병관리본부>, 2016.11.10., http://www.cdc.go.kr/board.es?mid=a20501000000&bid=0015&act=view&list_no=71771
    · “2019 의료기관 개설 및 의료법인 설립 운영편람”, 보건복지부, 2019.05.08., 29쪽 http://www.mohw.go.kr/react/jb/sjb0406vw.jsp?PAR_MENU_ID=03&MENU_ID=030406&CONT_SEQ=349379
    · “국내 병원, 슈퍼박테리아 감염감시 취약…“10곳 중 8곳 정기검사 안해””, <조선비즈>, 2018.07.05.,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05/2018070501441.html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감염”,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 MRSA (메티실린내성포도알균) 선별검사,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2.08.19., https://labtestsonline.kr/tests/mrsa
    · "항생제 내성 예방, 약사 역할 늘리고 제약사 마케팅 제한", <메디파나뉴스>,2019.09.06.,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45130&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 “병원 내 감염 심각…'항생제 내성균' 불안 증폭”, <SBS 뉴스>, 2017.12.27.,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548165
    · “동네 병원서 진료 힘든 '다제내성균' 환자…대책 없나”, <SBS 뉴스>, 2017.12.23.,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Id=N1004543638
    · "종합병원-요양병원 전원 과정에 다제내성균 확산…대책 마련해야", <청년의사>, 2019.09.06.,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2005
    · "국내 다제내성균 환자에 더이상 쓸 항생제 없어", <청년의사>, 2019.09.05., http://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1980
    · "국내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 문제 심각…치료제 확보 시급", <연합뉴스>, 2019.09.05.,https://www.yna.co.kr/view/AKR20190905101400017
    · “항생제 남용 심각…30년 후엔 매년 1000만명 사망”, <매일경제>, 2018.11.28., https://www.mk.co.kr/news/it/view/2018/11/742981/
    · “무분별한 항생제 남용… ‘슈퍼박테리아’로 돌아옵니다”, <서울신문>, 2019.02.17.,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218023001
    · “국내 항생제 사용량, 여전히 OECD 1위 오명”, <한국일보>, 2018.05.21.,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518153673965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