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학) 주노(JUNO) 독후감 및 문제점, 개입방안
- 최초 등록일
- 2019.10.14
- 최종 저작일
- 2018.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사회복지학) 주노(JUNO) 독후감 및 문제점, 개입방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주노
1)주제
2)제목과 감독
3)등장인물
4)줄거리
2. 등장인물과 관련된 문제점(3가지)
1) 주노와 폴린의 피임
2) 열악한 미혼모 복지 센터
3) 입양부부 남자
3. 개입 방안
1)미시적 측면
2)중도적 측면
3)거시적 측면
Ⅲ. 결론
본문내용
한국에서 미혼모라는 말이 등장한 것을 비교적 최근이 아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사용되어져 한국도 미혼모들이 오랫동안 존재하며 현재까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과거보다 현재의 미혼모들이 더 존중받고 혼자 아이를 키우기 좋은 사회에서 살고 있을까 의문이 든다. 미혼모(未婚母)란 한부모 안의 카테고리에 있으며, 한부모는 홀로 아이를 키우는 부모를 말한다. 미혼부도 포함이며 미혼모는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로 아이를 낳은 여자이며 미혼부(未婚父)는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로 아이가 있는 남자를 말한다. 필자는 여성복지론의 과제로 ‘미혼모’에 대해만 앞으로 서술할 것이다. 미혼모라는 용어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 사이 서양에서 미혼모의 사회적 측면과 개인적 측면이 함께 강조되어졌었고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를 해소하기 위한 인간관계 가설까지 등장하였다고 한다. 미혼모의 사전적 의미는 혼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여성과 남성의 성교로 혹은 강간과 같은 성폭력 등으로 임신한 여성을 뜻한다. 법률상으로는 미혼모를 정당한 혼인관계에 의하지 않은 성관계를 통해서 자녀를 분만한 여성으로 정의한다고 한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자신의 의지로 미혼모가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의도적으로 임신을 목적으로 혼외 성관계를 갖거나, 정자기증을 받거나 대리모로도 아이를 얻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또는 혼자 아이를 입양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엄마들을 선택에 이한 한부모 나 초이스맘(choice moms)라고 한다. 선진국은 미혼모에 대해 인식이나 법률, 제도가 잘 되어져 있지만, 아직 한국이 법,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으로 보수적이고 한부모나 미혼모들에 대해 사회적 낙인을 찍고 미혼모의 존재자체를 배제하고 경계한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 미혼모는 미혼부의 존재를 배제시킨 상태로 그들에게 사회적 낙인과 책임을 묻는 이중적 성규범을 범하고 분만이후의 아기 입양 여부, 사회 재적응 등 미혼모 개인이 책임을 지고 있는 상황이다.
참고 자료
미혼모의 출산, 양육환경개선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보고서 (김유경,조애 저, 노충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