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STEAM 교육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STEAM 교육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7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8.10 최종저작일 2017.08
78P 미리보기
STEAM 교육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STEAM 교육을 적용한 수학 수업이 학습자의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2. 이론적 배경
    1) STEAM 교육의 이해
    2) STEAM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이론 고찰
    3) 수학적 태도
    4) 선행연구의 고찰

    3.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검사도구
    4) 자료 수집 및 분석

    4. 결과분석 및 논의
    1) STEAM을 적용한 수학 프로그램 개발
    2) STEAM 적용 수학 수업이 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3) STEAM 적용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6. 참고 문헌

    7. 영문 초록

    8. 부록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1세기 우리는 농경 사회, 산업 사회를 거쳐 지식정보화 사회에 살아가고 있다. 산업 혁명 이후 일어난 정보화 혁명으로 우리 생활에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전 산업사회에서는 소품종 대량 생산 및 다품종 소량 생산의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리고 20세기까지는 공간성과 시간성의 제약으로 각기 다른 특성만으로 지역적․국가적 경쟁력을 창출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다른 분야의 학문이 독립적으로 가치를 인정받았다. 하지만 21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엄청난 속도로 발전하는 I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첨단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첨단 기술은 종전처럼 한 분야만이 아니고 서로 다른 분야와도 통합되고 융합을 필요로 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마찬가지로 인터넷과 핸드폰의 대중화는 지구촌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만들면서 세계 모든 정보를 공유하는 시대가 되었다. 독점했던 정보는 대중화되고 누구나 사용하는 정보가 되었으며 정보의 대중화는 생활공간, 생활방식, 생활용품 등을 일반화시켰다. 이러한 21세기는 무한경쟁시대이다. 변화된 환경에서는 다양성을 가진 차별화된 인재를 요구한다. 지식의 홍수 속에서 여러 지식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생활에서 부딪히는 문제들은 맥락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해야하는 문제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능력을 학생들에게 길러주기 위해서는 분과적이고 지식전달 위주였던 전통교육과 입시위주의 교육방법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폭넓고 다양한 사고를 길러주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교육방법이 필요하다.『생각의 탄생(Spark of Gunius)』이라는 책을 쓴 Root-Bernstein(1999)은 창조적 사고에 대한 접근법은 통합적이라는 것이다.

    참고자료

    · 고영욱(2014). 수학 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경인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1년 업무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교육부(2014). 2009 개정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수학 4-2. 서울: ㈜ 천재교육.
    · 교육과정평가원(2015). 초등학교 수학과 2015 개정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 김경희(2008). 국제학업성취도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근옥(2014). 수학 중심의 융합 수업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선희, 김기연(2011). 수학교육의 정의적 목표에 대한 제고. 수학교육학연구, 21(2), 149-163.
    · 김선희, 김부미, 이종희(2014). 수학교육과 정의적 영역. 서울: 경문사.
    · 김우진(2012). 초등수학영재의 창의성신장을 위한 STEAM 프로그램개발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재복(2000). 통합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 김재철(2002). 학생 배경 변인과 수학에 대한 태도 변화와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준송(2013). 융합인재교육(STEAM)과정을 적용한 수학수업이 영재학생의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 7(3), 1-29.
    · 김진수(2011). STEAM 교육을 위한 피라미드 모형과 큐빅 모형. 한국현장과 학교육학회학술대회 심포지엄 주제발표, 10(3), 98-131.
    ·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서울: 양서원.
    · 나철영(2001).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노용(2005). 미술과의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예. 미술교육 연구노총, 19(2), 381-414.
    ·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학회, 11(2), 90-101.
    · 박인영(1998).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구인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종성 역(2007) 생각의 탄생. 서울: 에코의 서재.
    · 백영균, 박주성, 한승록, 김정겸, 최명숙, 변호승, 박정환, 강신천(2003). 교육 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 백윤수, 김영민, 노석구, 박현주,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 최종현(2012). 융합 인재교육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 서보라(2012). 수학에 기반을 둔 STEAM 교수학습 내용 개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주희(2012).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성균 외(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수학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Ⅲ): 수학과 평가 도구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4(5), 946-958.
    · 우정희(2013). 초등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통합 유형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영만(2001). 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 이영만 홍영기(2006). 초등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 이현정(2014). 수학 교과 중심의 STEAM 교육을 적용한 ‘입체도형’ 단원 수업이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희경(2013). 블랜디드 학습기반 융합인재교육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서 고등학생들이 수학태도 및 상황적 지식에 대한 효과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최유현, 문대영, 강경균, 이진우, 이주호(2008). STEM 기반 발명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2), 143-164.
    · 최재천(2007). 지식의 통섭. 서울: 이음.
    · 허형구(2013). 수학교과중심 STEAM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ybee, R. W.(2010). Advancing STEM education: A 2020 visi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1), 30-35.
    · Drake, S. M.(1998). Creating integrate curricula. VA: Crown Press.
    · Fogarty(2009). How to integrate curricula. VA: Crown Press.
    · Hannula, M.(2004).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Emotionsm expectations and valu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40(2), 50-75.
    · Ingram, J. B.(1995). 교육과정 통합과 평생교육. 배진수, 이영만 역. 서울: 학지사.
    · Jacobs, H. H(1989).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Design and implementation. VA: Association of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Kuenzi, J. J.(2008).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Background, federal, policy and legislative action. 7(2), 88-102.
    · McLeod, D. B.(1992) Research on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In D. A. Grouws(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 575-598).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 Sanders, M.(2006). A rationale for new approches to STEM education and STEM education graduate program, Paper presented at the 93th Mississippi Valley Technology Teacher Education Conference Nashville. TN.
    · Sander, M.(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 Sandman, R.(1974). The mathematics attitude inventory: Instruments and user’s mannual.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s Education, 10(1), 20-35.
    · Yakman, G.(2007).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rgrative education. Intellectual Property. 50(4), 48-60.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0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