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급성 심근경색 문헌고찰 및 케이스스터디 A+ 자료 (간호진단 6개포함)
- 최초 등록일
- 2019.07.29
- 최종 저작일
- 2019.06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급성 심근경색 문헌고찰 및 케이스스터디 A+ 자료 (간호진단 6개포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MI)
3. 자료수집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심근경색은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본 실습기관인 길병원 응급실의 3대 중증 질환인 급성 심근경색, 급성 뇌졸중, 급성 뇌외상 중 하나이다.
심근경색증은 심근조직이 부분적으로 괴사되는 과정으로 세포가 불가역적인 사망을 일으킨 결과로 나타난다. 관상동맥에 혈류가 갑자기 80~90% 감소하면 심근의 허혈이 발생하며 이 상태에서 혈류공급이 회복되지 않으면 심근의 괴사가 초래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심근에 혈액공급이 계속 감소되어 세포가 괴사된 상태를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괴사된 심근세포는 심장리듬의 장애나 부정맥을 초래하며, 이는 경색 후 첫 몇 시간 내에 흔히 나타나며 주로 좌심실의 전후벽과 중격부위에 잘 발생된다.
본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심근경색 환자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간호문제들을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함으로써 환자의 치료를 돕고 합병증을 예방하여 빠른 회복을 돕고자 한다.
2. 문헌고찰 –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MI)
1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협심증과 달리 심장근육을 먹여 살리는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완전히 막혀서 심장근육이 죽어 가는 질환입니다. 발생 직후 병원에 도착하기 이전에 환자의 1/3은 사망하게 되며, 병원에 도착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입니다.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을 혈전이라는 피떡이 갑자기 막으면 심장근육으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합니다.
2) 병태생리
관상동맥의 벽에 콜레스테롤이 쌓이게 되면 이를 둘러싸는 섬유성막(fibrous cap)이 생기게 됩니다. 어떤 이유로든 이러한 섬유성막이 갑작스럽게 파열되면 안쪽에 있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되게 되고 이곳에 갑작스럽게 혈액이 뭉쳐서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게 되는 것입니다. 관상동맥이 막힘으로써 그 혈관이 공급하는 심장 근육이 손상을 입는 상태를 말합니다. 산소 공급이 중단되면 수 분 내지 수 십분 이내에 심장 근육 세포는 괴사를 일으키게 됩니다. 이런 혈액 공급의 중단은 흉통과 심장 수축 기능의 저하, 부정맥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즉각적이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심근경색
세브란스심장혈관병원> 급성심근경색증
퍼시픽 학술 편찬국,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약물정보- 드러그인포(Drug info)
가천대학교 길병원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