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스터디, 응급실사례연구, ER case study, MI,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 최초 등록일
- 2018.05.21
- 최종 저작일
- 2017.10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성인간호학 실습 - 응급실
- MI, 심근경색 사례연구
A+자료
간호과정 갯수 : 2개
진짜 고생한 케이스 자료입니다.
확실히 완벽하고 제대로된 케이스 스터디 자료임을 자부합니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부터 연구기간 및 방법, 문헌고찰, 세세히 분류된 완벽한 자료수집 내용, 모든 약물과 각종 검사 및 내외과적 처치에 대한 기록, 상세하고 디테일한 간호과정, 간호문제, 간호진단, 간호과정 적용, 연구결과 정리, 참고문헌 까지 완벽합니다.
최고의 자료 진짜 자부합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1) 간호력
2) 건강양상 사정
3) 내과적 치료법 : 약물
2.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1. 연구 결과의 정리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으로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으로 심장발작이라고도 한다. 심장의 전기활동이 급격히 변하여 심장이 멈추는 돌연사의 대표적 질환이며 초기 사망률이 10~15%에 이르고, 사망자의 56%가 발병 후 1시간 이내에 병원 밖에서 사망하는 질환이다. 현대의 고탄수화물, 고지방, 고열량 식생활과 좌식생활, 운동부족, 음주, 흡연 등과 함께 늘어난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만성질환은 심근경색의 가장 큰 원인이 되며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하는 환자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심근경색은 높은 사망률과 심각한 합병증으로의 이환률이 높다. 발생을 조기에 대처할 수 있는 조기진단 및 치료, 생활습관 개선 등의 예방적 방법이 가장 중요하지만, 심근경색 발생 후 사망이나 비가역적인 심장 및 뇌손상을 막기 위한 골드타임동안의 응급 치료 및 간호는 환자의 예후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 대상자에 대한 응급 치료 및 간호를 사전에 공부하고 실제로 실습하는 기회가 됨으로서 임상에 나가 신속하고 정확한 간호수행이 가능하게 만들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다.
< 중 략 >
Ⅲ. 결론
1. 연구 결과의 정리
대상자는 46세 남자 환자로 고혈압, 고지혈증의 과거력 있으며, 현병력으로 협싱증 있고, 신장 170cm에 체중 90kg으로 과체중인 대상자이다. 내원 당일 극심한 운동 후 극심한 흉부 통증과 호흡곤란으로 응급실 내원하셨고, NTG 2회 설하 복용하였지만 통증이 완화되지 않고 20분 이상 극심한 통증 호소로 보아 급성 심근경색 추정진단 받고 즉시 의식상태, 활력징후, 산소포화도, 심전도, 통증 등의 사정하였고 동성빈맥, ST분절 상승, 산소포화도 90%, 빠르고 얕은 호흡보이며, 발한, 지속적 호흡곤란 보여 반좌위 취해주고 절대 안정 시킴과 동시에 의사에게 보고하여 처방대로 IV line 확보하고 N/S 1L 40cc/hr로 주입하며 NTG를 설하로 투여하고 Nasal O2 3L/분으로 주입하였다.
참고 자료
조경숙외(2013)성인간호학1 현문사
조경숙외(2013)성인간호학2 현문사
송경애외(2014)최신 기본간호학 개정판 수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