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 실험 목표:
ㆍ 화학공학에서 널리 쓰이는 흡착에 관한 종합적인 이해를 얻는다.
ㆍ BET Surface Analyzer 분석의 원리를 이해하고 사용한다.
ㆍ BET Surface Analyzer를 이용하여 물질의 surface area, pore volume, pore size distribution, pore network를 측정함으로써 물질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한다.
2) 실험 원리:
(1) 용어 정의
ㆍ Micropore: 0nm-2nm diameter/ mesopore: 2nm-50nm diameter/ macropore: >50nm diameter
ㆍ 비표면적: 단위부피당 표면적
ㆍ 수착(sorption): 기체의 분자가 표면에 붙는 현상. 흡착(표면의 가스 기체 농도의 증가)과
탈착(표면의 가스 기체 농도의 감소)가 있다.
(2) 이론
흡착이란?
ㆍ 흡착: 경계면에서 어느 물질의 농도가 증가하는 현상. 즉, 기상, 용액 등의 균일상으로부터 원자나 이온, 분자, 가스, 액체 등이 고체 표면과 액상의 계면에 머물게 되는 현상.
ㆍ 흡착등온선(Adsorption isotherm): 일정온도에서 흡착이 평행에 이르렀을 때, 흡착된 분자 또는 이온의 양(흡착량)과 기체 또는 용액의 압력, 농도(평형압, 평형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 흡착량은 흡착평형 압력이 낮을 때(KPA<<1)는 압력에 비례, 흡착 평형 압력이 높을 때(KPA>>1)는 VM에 근접.
ㆍ 흡착등온식: 흡착등온선을 수식으로 나타낸 것(Langmuir 흡착등온식, BET 흡착등온식)
참고자료
· A. Trunschke, Surface area and pore size determination, Modern Methods in Heterogeneous Catalysis Research, 19.10.2007
· 임재석 외 1명, ‘흡착 과학공학과 흡착제’, 내하 출판사, 2012, p. 99~139
· John C., ‘Surface Analysis: The principal techniques’, Wiley
· Dr. Matthias Thommes, Pore Size Analysis by Gas Adsorption, Part 1, Powder Tech Note 31
· Holler, 「Principles of Instrumental Analysis」, Thomson,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