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 병태생리, 간호진단
- 최초 등록일
- 2019.06.17
- 최종 저작일
- 2018.1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위암
Ⅲ. 본론
1.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우리나라에서 2012년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21.0%)이였으며, 위암(16.8%), 대장암(14.0%), 유방암(10.7%), 폐암(4.3%), 간암(4.2%), 전립선암(4.0%)의 순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암은 그 중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남자의 경우 위암이 25.1%로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위암 발생률이 높은 까닭 중 하나는 짜고 매운 자극적인 음식들과 국에 밥을 말아 먹는 등의 식생활 습관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 되고 있다. 또한 위암은 뚜렷한 증상 없이 사람들이 단순한 위장 장애로 오인하여 치료시기를 놓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위암의 진행이 많이 됐을 때 발견 하고 수술로 손을 쓸 수 도 없게 되면 사망 까지 이르게 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위암 발생률은 밑에 통계를 보면 역시 여전히 높을 뿐 아니라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나는 이처럼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5대암인 위암에 대해 알아보고 그와 관련된 간호진단을 내려 보고자 한다.
문헌고찰
1.위암
1) 정의
위암이란 위에 생기는 암을 두루 이르는 말이다. 위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선암(胃腺癌)은 위점막의 선세포(샘세포)에서 발생한 것이며 현미경에서 관찰되는 모양에 따라 다시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샘조직 고유의 형태를 많이 유지하는 경우 분화도가 좋다고 하며 조직의 형태와 세포모양을 알아보기 힘든 경우 분화도가 나쁘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분화도가 좋은 위암은 림프절 전이가 적고 예후가 좋으며, 분화도가 나쁜 위암은 림프절 전이가 있을 확률이 높고, 진행이 빨라 예후가 좋지 않다.
2) 위험인자
위암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위암 관련 질병, 식생활, 흡연, 그리고 가족력 등과 관련이 있는데, 가족력에 있어서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①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위산 속에서도 살 수 있는 나선형 세균 헬리코박터 파일로 리균(Helicobacter pylori)을 위암을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분류
참고 자료
암 발생 및 사망 현황 - 국가지표체계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70
국가 암 정보센터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3/cancer/view.do?cancer_seq=4661
성인간호학Ⅰ- 고자경, 김정아, 홍정주 외 공저 / 퍼시픽북스
명의 스페셜 다시 보는 5대암 위암 - EBS1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제2판 - 원종순, 김남초, 박수현, 송민선 외 공저 / 현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