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분노조절 간의 상관관계 연구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분노조절 간의 상관관계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9.06.13 최종저작일 2017.12
15P 미리보기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분노조절 간의 상관관계 연구
  • 미리보기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인터넷 게임중독
    2. 분노조절
    3. 선행연구와 연구필요성 제기

    III. 연구방법
    1.연구모형과 연구문제 제기
    2. 측정도구

    IV. 실증분석
    1.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배경
    2.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기술통계현황
    3. 상관관계분석

    V. 결론
    3. 자료수집과 분석절차

    본문내용

    요약
    이 연구는 중학생 청소년들의 인터넷게임중독임과 분노조절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것으로써, 강원도 철원군, 서울시 동작구, 서울시 양천구에 거주하고 있는 예비중 2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조사 및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터넷게임중독의 하위요인인 학업태도저하, 부정적 정서경험, 집착, 대인관계문제는 분노조절과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행동은 분노조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대부분의 인터넷게임중독 요인의 수준이 높아지면 중학생 청소년의 분노조절능력은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중학생 청소년의 분노조절능력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인터넷게임에 중독되지 않도록 사회가 나서서 예방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Key word : 청소년, 인터넷 게임, 분노조절, 상관관계

    I. 서론
    최근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생에서 중학생, 고등학생까지 교급이 높아질수록 자살 충동을 더욱 많이 경험하는 등 국내 학생들의 삶의 만족도가 OECD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시사위크, 2016.11.10.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82021, 검색일 2017.2.3.). 이러한 상황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이 청소년의 ‘분노’라는 연구가 발표되었는데(이순영, 2013), 이 연구에 의하면 청소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제시된다. 따라서 청소년의 분노조절에 대한 학술적인 접근을 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실시하였고, 조사 결과, 분노조절에 실패했을 때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로서 사회적 상호작용이나 공격성, 우울, 자살생각과 같은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었다. 김성자(2007)와 김정아(2008)는 분노는 또래 관계 속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방해하며, 분노의 강도가 높고 분노조절에 실패한 아동은 또래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밝혀졌다(박종효, 2005). 그리고 조절되지 않은 분노는 공격행동을 유발하는 주요 인자가 될 수 있다.

    참고자료

    · 강병서·김계수(2010), SPSS 17.0 사회과학 통계분석, 한나래 아카데미.
    · 강신덕(1997). 비행정소년 분노조절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청소년상담 연구,5(1)
    · 권정혜(2000). 감각추구성향, 스트레스 대처방식, 사회적 지지가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0-281.
    · 권정혜(2005).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시간에 따른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4(2),267-280
    · 김경희(1996). 정서란 무엇인가.서울: 민음사.
    · 김성자(2007). 분노 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공격 성향 아동의 분노,공격성 및 또래 관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아(2008). 인지·정서·행동 분노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 조절 및 역기능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남궁희승(1997),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류소영(1996).비행청소년을 위한 분노대처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류진아(2003),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하가원 박사학위논문.
    · 박미경(2009).초등학생의 분노표현능력과 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종효(2005). 또래 공격행동 및 피해행동에 대한 이해 :선행요인 탐색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18(1).
    · 안정미(2013), 청소년들의 분노조절능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분노경험영역과 분노반응전략의 영향,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안진희(2012), 분노조절 인지행동프로그램이 우울성향집단에 미치는 효과 : 우울, 분노, 자아존중감, 자살사고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 비(2012),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이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미리(2009).청소년기 분노정서 경험의 발달과 자아존중감, 부모, 친구, 학업, 여가 맥락의 영향. 청소년 복지연구:11(2)
    · 이순영(2013),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자살시도 유경험 중학생의 분노, 자살생각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형초·안창일(2002), 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11-239.
    · 임소영(2000). 비행청소년을 위한 분노조절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임영식,한상철(2000). 청소년 심리의 이해. 서울: 학문사.
    · 임전옥,장성숙(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5(2).
    · 채유경(2001). 청소년 분노 표현방식의 모델 및 조절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시사위크, 2016.11.10. http://www.sisaweek.com/news/articleView.html?idxno=82021, 검색일 2017.2.3.
    · Alschuler, C. F., & Alschuler, A. S.(1984). Developing healthy responseto anger: The counselor's role.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3.
    · Feindler, E. L.(1989). Adolescent anger control: Review and critique. Progress in behavior modiication. Newbury Park, CA: Sage.
    ·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http://www.cmhc.com/mlists/research.html.
    · Hubbard, J. A., & Coie, J. D.(1994). Emotional correlates of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s peerrelationship. Merrill-Palmer Quarterly, 40.
    · Morganett, P. S.(1994), Skills for living : Group Counseling Acivities for Elementary Students. In. 허승희 역(1994). 삶의 기술, 서울: 학지사.
    · Spielberger, C. D.(1979). Preliminary manual for the State-Trait Personality Inventory(STPI): Test forms and psychometric data. Tempa, F L; University of South Florida, Human Resources Institut
    ·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3), 237-244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질이 높고, 각 분야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가 많아 학습하는 재미가 쏠쏠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유익한 자료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