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실습 체크리스트(응급실에 관한 내용, 응급환자 간호, 응급약물, )
- 최초 등록일
- 2019.06.03
- 최종 저작일
- 2018.10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응급실 실습 체크리스트입니다.
대학병원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 직접 질문하고 관찰하고 공부했던 내용으로
취업한 지금에도 참고하는 파일이라 응급실 실습하시는 분들이라면 많은 도움 되실거라 생각합니다.
응급약물의 작용효과, 기전, 용량 및 용법, 부작용, 간호까지 모두 적었고
직접 실습한 기간동안 응급실 내에서 관찰해온 술기들을 적었습니다.
또한 수간호사 선생님께서 보시고 꼼꼼하게 잘 적어왔다고 칭찬하셨고 실습 A+에 많은 기여를 했다고 생각합니다.
목차
1. 응급의료체계
1-1. 응급의료체계의 분류
1-2. 응급환자의 정의
1-3. 응급증상
1-4. 3대 중증응급질환
1-5. 응급실 의료절차
2. 응급환자 사정
2-1. 응급환자 일차사정(Initial assessment)
2-2. 신경학적 사정
2-3. 응급환자 이차사정(Secondary assessment)
2-5. 병력 확인
3. 응급환자 분류체계
4. 응급약물
5. intubation, chest tube insertion, L-tube, optiflow
본문내용
1. 응급 의료 체계
1-1. 응급의료체계의 분류
응급의료체계는 응급의료서비스가 제공되는 장소에 따라 크게 ‘병원전 단계’와 ‘병원단계’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활동단계를 세분화하면 아래와 같다.
병원전 단계(Pre-hospital phase)
(1) 환자발생의 신고와 구급차 출동
(2) 구급차가 현장에 도착하기 전까지 전화상담원(dispatcher)에 의해 이루어지는 응급처치요령의 지도
(3) 구급대(응급구조사, 구급대원)에 의한 현장 응급처치
(4) 정보 · 통신체계를 이용한 구급차·병원간의 정보교환으로 이송 병원 결정, 현장에서 병원까지 이송중에 이루어지는 이송처치
병원단계(In-hospital phase)
(1) 현장처치의 검토 및 연속적인 응급처치
(2) 진단을 위한 적절한 검사
(3) 입원치료(중환자실, 일반병실) 혹은 응급수술 결정
(4) 환자의 응급처치에 필수적인 의료진이나 시설, 장비가 준비된 전문응급센터(외상, 화장, 독극물, 심혈관센터 등)나 응급의료기관으로 전원여부의 결정과 전원병원 결정
<중 략>
1-3. 응급증상(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 신경학적 응급증상 : 급성의식장애, 급성신경학적 이상, 구토, 의식장애 등의 증상이 있는 두부손상
- 심혈관계 응급증상 : 심폐소생술이 필요한 증상, 급성호흡곤란, 심장질환으로 인한 급성 흉통, 심계항진, 박동이상 및 쇼크
- 중독 및 대사장애 : 심한 탈수, 약물, 알콜 또는 기타 물질의 과다복용이나 중독, 급성 대사장애 (간부전, 신부전, 당뇨병 등)
- 외과적 응급증상 : 개복술을 요하는 급성복증(급성복막염, 장페색증, 급성췌장염 등 중한 경우에 한함), 광범위한 화상(외부신체 표면적의 18% 이상), 관통상, 개방성, 다발성 골절 또는 대퇴부, 척추의 골절, 사지를 절단할 우려가 있는 혈관 손상, 전신 마취 하에 응급수술을 요하는 증상, 다발성 외상
- 출혈 : 계속되는 각혈, 지혈이 안되는 출혈, 급성 위장관 출혈
- 안과적 응급증상 : 화학물질에 의한 눈의 손상, 급성 시력 소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