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수. “하나님 나라 구현을 위한 교육목회”. 「교육교회」. 2005년 1월, 통권 331호. (서울: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원), p815.
· 이동환, “군목, 청년선교 전초기지에서 한국 교회 희망을 꽃피우다”, 「목회와 신학」, 2013년 11월호, 통권 293권, (서울:두란노서원), p110.
· 김문석, “청장년을 위한 결혼사역이 필요하다”, 「목회와 신학」, 2013년 10월호, 통권 292권, (서울:두란노서원), p101.
· 문병호, “칼빈주의와 생명신학”, 「월간 목회」, 2013년 8월호, 통권 444호, p35.
· 이수영, “깔뱅의 신앙론”, 「목회자료 큰 백과」, 22권, (서울:두란노 1997), p1045.
· 정훈택, “예수님이 요청하신 교회 이미지”, 「목회와 신학」, 1997년 10월호, 제1000권, (서울:두란노서원), p49.
· 신국원, “무엇이 공동체를 와해시키는가?”, 「목회와 신학」, 2016년 11월호. 통권 329호, (서울:두란노서원), p55.
· 김대동, “영혼을 세우는 관계의 공동체”, 「목회와 신학」, 2016년 11월호, 통권 329호, (서울:두란노사원), p51.
· 김영한, “교회와 사회에 종말론적 비전을 제시하라”, 「목회와 신학」, 2016년 7월호, 통권 32호, (서울:두란노서원), p66.
· 박아론, “포스트 모던이즘과 총신의 신학”, 「신학지남」, 1994년 여름호, 240호, (서울:신학지남사), p6.
· 탄 킴 사이, “종교다원시대에 처한 복음주의 신학의 역할과 과제”, 「목회와 신학」, 1992년 10월호, 통권 40호, (서울:두란노서원), p126
· 이현모, “종교다원주의에 대한 이해와 대처”, 「목회와 신학」, 1999년 2월호, 통권116호, (서울:두란노서원), p54.
· 정상호, “뉴에이지 운동의 반기독교적 경향과 그 대처 방안”, (침례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p11
· 리빌스, “음악장르 ‘뉴에이지’와 그 오해에 대해”, (Tistory), 2013.01.22.
· 곽용하, 「당신은 뉴에이지와 그 음악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서울:낮은 울타리, 1995), p23.
· 김진영, “뉴에이지 음악 대한 진지한 논의 필요”, ‘문화-뮤직/CCM’, (크리스천투데이), 2006.01.16.
· 김의환,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한국기독교논총」, 제 9집, (서울:숭실대출판부, 1996), p294
· 박서영, “네오막시즘과 동성애”, (뉴스파워:Newspower), 2016. 06. 09.
· 천현옥, “인권이라는 탈을 쓴 네오막시즘”, ‘주장과 논문’, (코람데오닷컴), 2017.03.17.
· 강봉규, 「발달심리학」, (서울:정훈출판사,1992), p63.
· 길원평, “동성애가 ‘선천’도 ‘유전’도 아닌 과학적 이유1”, 「진화론의 영향」, 한국창조과학회
· 윤가현, 「성 심리학」, (서울:성원출판사, 1990), p159.
· 오재호, “동성애에 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p13.
· 길희성, “종교 다원주의:역사적 배경, 이론, 실천”, <다원주의, 축복인가? 재앙인가?>, 한국철학회, pp186.
· 김중은, “종교다원주의란 무엇인가?” 「교육 교회」, (서울:장로회신학대학 기독교교육연구원), 1992년 10월호, 통권 제195호, p11.
· 송기식, “종교다원주의 속의 교회 갱신과 개혁”, 「월간 목회」, 1999년 6월호, 통권 275호 (서울:월간목회사), p234.
· 이양림, “뉴에이지 운동의 세계관”, 「목회자료 큰 백과:종교 및 이단 연구 24권」, (서울:두란노 1997), p912.
· 최운, "기독교 세계관으로 보는 뉴 에이지", 『CTMNews』, 2015. 2. 28.
· 이정석, “포스트모던 시대의 신관”, 「한국개혁신학 논문집 2권」, (서울:한국개혁신학회 1997), p96.
· 박아론, “포스트 모더니즘과 총신의 신학”, 「신학지남 240호」, (서울:신학지남사 1994년), p4.
· Beyerhaus. P., “네오마르크스주의와 현대 기독교”, 「평화인간-평화체계 1권 1호」, (서울:한국평화학회 2003년), p233.
· 권녕달, “네오마르크스주의”, 「현대사상연구 Vol.3」, (대전:목원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1986), p48.
· 백경남, “네오마르크스주의의 성립과정과 주요 관심영역”, 「안보연구 제15호」, (서울:동국대학교안보연구소 1985), p205.
· 문용식, 「그리스도인을 위한 문화이해」, (서울:예영커뮤니케이션 2005), p50.
· 한균자 외 14인, 「한국사회 문제」, (서울: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002), p16.
· 편찬위원회, 「기독교대백과사전:마르크스주의」, (서울:기독교문화사 1985) p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