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영성, 「헌법학원론」, 법문사, 2008.
·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8.
· 박운희, 「헌법에 열거되지 아니한 자유와 권리」, 인권과정의, 1995.
· 성낙인, 「헌법학」, 법문사, 2008.
·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2009.
· 김배원, 「한국헌법사와 현행헌법 기본권장의 개정 방향」, 공법학연구 10(3), 한국비교공법학회, 2009.
· 김선택, 「기본권 일반규정의 개정방안 연구」, 헌법학연구 제12권 제4호, 2006.
· 김선택, 「기본권 보장의 발전과 기본권학의 과제」, 공법연구 제37집 제2호, 2008.
· 김승환, 「기본권 규정 및 기타 분야의 개정과제」, 공법연구 제34집 제1호, 2005.
· 김종세, 「기본권 일반조항의 바람직한 헌법개정방향」, 법학연구, 한국법학회, 2009.
· 박선영, 「자유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헌법개정의 방향-헌법총강과 기본권조항을 중심으로-」, 헌법학연구, 제10권 제1호, 2004.
· 박선영, 「제19대 국회의장 직속 헌법개정자문위원회의 헌법전문과 총강부문 개정안에 대한 비교헌법학적 연구」, 유럽헌법연구 제15호, 유럽헌법학회, 2014.
· 서현진, 「민주화 이후 헌법 개정 논의와 기본권 개정 이슈」, 현대정치연구 3(1),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0.
· 이승우, 「헌법개정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헌법개정의 방향」, 공법학연구, 제8권 제1호, 2007.
· 장영수, 「헌법총강에 대한 헌법개정-국가의 기본적 구성요소 및 헌법의 기본원리와 관련한 헌법개정-」, 공법연구 제34집 제4호 제2권, 2006.
· 전광석, 「헌법편제에 관한 연구」, 헌법학연구 제12권 제5호, 2006.
· 정종섭, 「한국헌법사문류」, 박영사, 2002.
· 정태호, 「권리장전의 개정방향」, 공법연구 제34집 제4호 제2권, 2006.
· 조홍석, 「현행헌법의 평등권․양성평등조항 개정방향, 헌법학연구 제12권 제4호」, 2006.
· 한국헌법학회, 「헌법개정연구 헌법개정연구위원회 최종보고서」, 2006.
· 헌법연구 자문위원회, 「헌법연구 자문위원회 결과보고서(요약본)」, 헌법연구 자문위원회, 2009.
· 한병호, 「사회적 기본권 규정에 관한 헌법개정의 검토」, 헌법학연구 제12권 제4호, 2006.
· Karen O'connor & Larry J. Sabato, The Essentials of american Government-continuity and change, Pearson Education, Inc., 2006.
· 대법원 1971. 6. 22. 선고, 70다1010.
· 헌재 1990. 1. 15. 89헌가103.
· 헌재 1991. 6. 3. 89헌마204.
· 헌재 1995. 12. 28. 95헌바3.
· 헌재 1996. 12. 26. 94헌바1.
· 헌재 2001. 9. 27. 2000헌마342.
· 헌재 2002. 1. 31. 2001헌바43.
· 헌재 2005. 5. 26. 2004헌마190.
· 헌재 2005. 7. 2. 2004헌바2.
· http://www.dgugs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98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7189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