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성장과 기후변화
- 최초 등록일
- 2019.03.27
- 최종 저작일
- 2016.12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워라밸
5회 판매

소개글
온실가스 감축목표보다는 실리를
목차
Ⅰ. 녹색성장이란 무엇인가
1. 녹색성장이란?
2. 녹색성장 개념의 논의경과
3.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
4. 국제 기대에 부합하는 국가 위상 정립
Ⅱ. 왜 녹색 성장인가
1. 지구온난화
2. 한국은 지구 온난화에 취약하며 직접적인 영향
3. 에너지위기
4. 우리나라는 화석연료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은 구조
5. 한국은 중화학, 전자 등 주력산업 육성 등을 통해 고도의 경제성장을 달성하였으나, 최근 저성장 국면 진입
Ⅲ. 녹색성장 10대추진방향
1. 온실가스 줄이는 저탄소 정책
2. 녹색기술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3. 고도의 융합기술 정책
4. 새로운 일자리 창출
5. 기업의 경쟁력 강화
6. 국토·도시·건축·교통 개조
7. 소비패턴까지 바꾸는 생활혁명
8. 녹색성장은 교육·환경정책
9. 환경 친화적인 세제정책
10. 국가브랜드를 높이는 외교정책
Ⅳ. 느낀점
본문내용
녹색성장이란?
대한민국 건국 60년을 맞는 오늘, 저는‘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비전의 축으로 제시하고자 합니다. 녹색성장은 온실가스와 환경오염을 줄이는 지속가능한 성장입니다. 녹색기술과 청정에너지로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新국가발전 패러다임입니다.” - 대한민국 건국 60년 경축사 (2008.8.15, 대통령)
녹색성장 개념의 논의경과
-Economist지(2000.1.27)에서 최초로 언급되었으며, 다보스 포럼을 통해 널리 사용되기 시작
-아ㆍ태 환경과 개발에 관한 장관회의(’05년)’에서“녹색성장을 위한 서울이니셔티브(SI)”가 채택되어 UN 아ㆍ태경제사회위원회(UNESCAP) 등 국제사회 논의 본격화
-OECD 각료회의이사회(’09.6.24) 선언문에 녹색성장 관련 내용 포함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
-성장패턴과 경제구조의 전환을 통해, 환경과 경제 양축의 시너지(Synergy) 효과 극대화
-핵심 주력산업의 녹색화, 저탄소형 녹색산업 육성, 가치 사슬의 녹색화 추진
국제 기대에 부합하는 국가 위상 정립
-국제적 기후변화 논의에 적극 대응함으로써, 녹색성장을 국가발전의 새로운 모멘텀으로 활용
-녹색 가교 국가로서 글로벌 리더십 발휘를 통해 세계 일류의 녹색선진국으로 발돋움
왜 녹색 성장인가
지구온난화
지구온난화로 인한 환경위기 심화
-지구 온난화로 인한 환경위기 심화지구 온난화는 인류생존의 위협요인으로 작용
100년 세계 평균기온 0.74℃ 상승, 금세기말 최고 6.4℃ 상승 예상
-가뭄ㆍ홍수ㆍ폭염, 생태계 파괴 등의 형태로 표출
한국은 지구 온난화에 취약하며 직접적인 영향
-국내 평균기온 상승율은 세계 평균수준을 크게 상회
지난 100년간(1912~2008) 우리나라는 평균기온이 1.7℃ 상승
-지구 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영향 심화
겨울철 지속기간이 약 22~49일 단축
* 여름철에 집중호우와 고온현상 반복
* 폭염으로 ’94 ~’05 사이 2,127명 사망
* ’07년 말라리아 환자 2,227명 증가
에너지위기
글로벌 에너지·자원 고갈 위기 심화
참고 자료
http://korea.kr/newsWeb/pages/special/green/greenSection/what.j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