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국적 기업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 최초 등록일
- 2019.03.14
- 최종 저작일
- 2019.03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I. 다국적기업의 긍정적 측면
1) 투자국의 입장
2) 투자대상국의 입장
II. 다국적기업의 부정적 측면
1) 투자국의 입장
2) 투자대상국의 입장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투자국의 입장
첫째, 자본, 인력, 기술과 같은 투자국의 잉여 생산자원을 해외에 이전하여 활용함으로써 생산요소의 한재생산력을 제고시킬 수 있고 보다 많은 이익을 획득할 수 있다.
둘째, 수출을 비롯한 해외소득으로 인하여 외화획득에 기여하고 국제수지를 개선시킨다.
셋째, 다국적기업의 영업활동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그 활동범위가 세계 각자로 분산됨에 따라 각 지역별 경기변동에도 불구하고 매출과 이익을 지속적으로 창출함으로써 경영위협을 줄일 수 있다.
넷째, 세계적인 규모로서 수요를 창출하고 매출을 증대시킴으로써 대량생산 ․ 대량판매로 인찬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
2. 투자대상국의 입장
첫째, 외국인 투자의 증대는 국내의 부족한 자본과 투자재원을 보충할 수 있고
산업 활동을 활성화시킨다.
둘째, 내국인의 고용증대를 통하여 소득향상에 기여한다.
셋째, 선진기술 및 경영기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넷째, 새로운 산업과 투자기회를 개발함으로써 국내기업들에게 투자활동을 자극
하는 선도적 기능을 수행한다.
다섯째, 산진국의 제품과 서비스를 비교적 저렴하게 이용함으로써 소비수준의 선진화가 이루어진다.
참고 자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