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와 건강
- 최초 등록일
- 2019.01.14
- 최종 저작일
- 2019.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공기
1) 산소
2) 질소
3) 이산화탄소
4) 일산화탄소
5) 공기의 조성
6) 실내공기 오염
2. 기후
1) 기후의 개념
2) 기상의 개념
3) 일기의 개념
3. 대기오염
1) 정의
2) 역사
3) 대기 오염 물질
4) 대기오염과 기상 기후
5) 대기오염의 영향
6) 대기오염대책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공기
1) 산소
- 1회 호흡시 산소소비량 : 회 4~5% (1일 산소소모량: 2500~3000L)
- 저산소증 : 공기중 산소 14%이하, 폐포내 분압 46mmHg에서 발생
- 호흡곤란 : 10%이하 일 때 발생
- 질식 : 7%이하 일 때 발생
- 산소중독증 : 공기중 산소 21%이상, 폐포내 분압 160mmHg일 때 발생 (주로 고기압의 고- 농도 산소흡입시 발생)
2) 질소
- 생리적 비활성화 가스로 정상기압에서는 호흡시 기도를 출입할 뿐이지만 이상고기압시나 급격한 감압시 인체에 영향을 줌
- 3기압 : 자극작용
- 4기압이상 : 마취작용
- 10기압이상 : 정신기능의 장애로 의식상실초래
- 잠함병(감압병) : 고기압하에서 액화된 질호가 감압시 기화 → 기포형성 → 모세혈관에 혈정 현상 → 통증성 관절장애, 잠수작업, 잠함업자들에게 나타남
3) 이산화탄소
- 무색, 무미, 무취의 비독성 가스
- 호기중 4% 배출됨(1시간에 20L)
- 폐포농도 5~6% 범위 내에서 분압의 현상으로 가스교환이 이루어짐
- 8% : 호흡곤란유발
- 10% : 질식
- 실내에 다수가 밀집해 있을 때 농도가 증가하므로 실내공기 오염의 지표로 사용됨 (위생학적 허용농도 0.1%)
참고 자료
지역사회 간호각(분야벽).2006.연강외.현문사
지역사회간호학.005.김성실외.정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