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의학의 비약적인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되면서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크게 증가하게 되었고, 질병의 양상도 급성질환보다는 만성질환으로 그 형태가 변화하게 되어 만성질환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노령인구와 만성질환자는 21세기의 화두가 되었다.
국내에서 만성신부전증으로 신 대체요법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80,674명이다. 그 중 혈액투석환자는 57,256명이고 복막투석 7,423명, 신장이식15,995명이다. 만성신부전증환자가 2000년 초에는 28,000명 정도이었는데, 2014년에는 3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만성신부전은 신장의 기능이 10~15%이하로 떨어져 기능을 할 수 없을 때 발견되는 질환이며, 혈액투석이 신 대체 요법 중 70%를 차지하고 있다(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 현황, 2014).
혈액투석환자는 영구적인 동정맥루 혈관수술과 병원에서 일주일에 3회 4시간 이상 혈액투석기에 의존하여 치료를 받고, 또한 생명이 다할 때까지 투석을 중단 할 수 없기 때문에 일생을 통해 계속 치료해 나가는 만성질환자이다(강성례 등, 2001). 만성질환자인 혈액투석환자의 치료 목표는 건강유지와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Perneger et al, 2003). 혈액투석환자는 신장이식환자와 복막투석환자보다 상대적으로 삶의 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스트레스, 사회 심리적 적응, 건강상태 (김명자 등, 2003; 서순림 등, 2014; 오숙희 등, 2006) 및 자가간호역량(배재문 등, 2011)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강성례, 이병숙(2001). 만성신부전 환자의 체험. 대한간호학회지, 30(4), 525-537.
· 김도훈, 민성길, 한 대석. 혈액투석환자에서 보는 우울증의 특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경정신의학, 1994, 33(1), 39-46.
· 김명자, 김남초, 송효정, 오정아, 김태양(2003). 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기본간호학회지, 10(2), 163-170.
· 노유자. 서울지역 중년기 성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988.
· 대한신장학회 등록위원회. 우리나라 신대체 요법의 현황, 대한신장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27, 459-481, 2007.
· 박경엽. 혈액투석환자의 희망, 극복력, 자가간호역량 및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 방병기. 우리나라 투석요법의 현황, 대한신장학회지, 8(2), 255-262, 1989.
· 배재문, 심문숙(2011). 심장판막수술환자의 자가간호역량과 삶의 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9), 3975-3983.
· 서남숙, 강승자, 김재희, 김세자(2013).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와 수면장애, 스트레스, 자기 효능감 및 우울 관계.
· 소희영, 김종임, 김흥선. 혈액투석환자의 우울에 한 연구, 충남대학교 충남의대잡지, 12(1), 198-205, 1985.
· 윤수경. 혈액투석 환자 가족의 부담감, 사회적지지 및 삶의 질, 한양대학교 대학원,2014.
· 윤순호. 혈액투석환자의 투석기간에 따른 사회 심리적 적응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삼육대학원대학원, 2008.
· 채윤정. 혈액투석 환자와 복막투석 환자 간의 삶의 질과 우울의 비교 연구,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 최명애. 항상성 유지와 투석의 원리, 대한간호, 26(2), 7-14, 1986.
· 최보문. 1984, 장기혈액투석환자의 인지기능장애,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37(3), 729-736
· 최순희, 김성화. 1995, 입원한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우울정도에 관한 연구, 중앙의학사, 60(10),861-875.
· 홍은희. 1999, 혈액투석환자가 지각하는 가족지지와 삶의 질 고나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Baldree, K. S., Murphy, S. P., & Powers, M. J. (1982). Stress identification and coping patterns in patients on hemodialysis. Nursing Research, 31(2), 107-112.
· Gurklis, J. A., & Menke, E. M. (1988). Identification of stressor and use of coping methods in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Nursing Research, 37(4), 236-239.
· Ormandy, P. D. (1997). Dialysis : Hemodialysis. Nursing Standard, 11(23), 48-56.
· Ferrans, C. J., & Powers, M. J. (1985). Quality of life Index: Develo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 8(1), 15.
· WU. A. W., Fink, N. E. JMarsh-Manzi, J.V.R., Meyer, K. B., Finkelstein, F. O., Chapman, M. M., & Powe, N. M. (2004). Change in quality of life during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 Generic and disease specific measur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15, 743-753.
· Young, K. J., & Longman, A. J. (1983). Quality of life and persons with melanoma :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6, 219-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