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麗史』
· 『元史』
· 고병익, 『동아 교섭사의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70.
· 김호동, 『몽골제국과 고려』,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 김호동 譯, 『부족지』, 사계절, 2002.
· 김호동 譯, 『칭기스칸기』, 사계절, 2003.
· 김호동 譯, 『칸의 후예들』, 사계절, 2005.
· 이개석, 『고려-대원관계 연구』, 지식산업사, 2013.
· 장동익, 『고려 후기 외교사 연구』, 일조각, 1994.
· 장학근, 『고려의 북진정책사』,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4.
· 한국중세사학회, 『고려시대사강의』, 늘함께, 1997.
· 고병익, 「고려와 원과의 관계」, 『동양학』, 단국대학고동양학연구소, 1977.
· 김호동, 「고려는 왜 원의 부마국이 되었을까?」, 『내일을 여는 역사 제13호』, 내일을 여는 역사, 2003.
· , 「몽골제국과 ‘大元’」, 『歷史學報 第192輯』, 역사학회, 2006.
· 문창로 外, 「14세기 후반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와 고려-원 • 명-일본 관계」, 『진단학보』114, 진단학회, 2012.
· 박종기, 「고려시대의 대외 관계」, 『한국사』6, 한길사, 1994.
· 윤은숙, 「여·몽 관계의 성격과 동아시아의 국제 관계 - 중국 학계의 ‘책봉과 조공’ 관계 연구의 한계와 문제점을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35, 동북아역사재단, 2012.
· , 「쿠빌라이와 고려」, 『역사비평』, 역사문제연구소, 2010.
· 이개석, 「大蒙古國-高麗 關係 연구의 재검토」,『 史學硏究 88호 』, 韓國史學會, 2007.
· , 「13~14세기 麗元關係와 고려사회의 다문화수용」, 『복현사림』 28권0호, 경북사학회, 2010.
· 이익주, 「14세기 후반 원·명 교체와 한반도」,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 , 「고려-몽골 관계사 연구 시각의 검토 : 고려-몽골 관계사에 대한 공시적, 통시적 접근」, 『한국중세사연구』27, 한국중세사학회, 2009.
· , 「高麗·元關係의 構造에 대한 硏究 - 소위 '世祖舊制'의 분석을 중심으로」, 『韓國史論』,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96.
· , 「원元의 ‘부마국’으로서의 고려국가의 성격」, 『한국사 시민강좌』40, 일조각, 2007.
· 주채혁, 「몽골 - 고려사 연구의 재검토 - 몽골ㆍ고려 전쟁사 연구의 시각문제 -」, 『 애산학보』, 애산학회, 1989.
· , 「高麗內地의 達魯花赤 置廢에 관한 小考」, 『淸大史林』, 청주대학사학회, 1974.
· 최윤정, 「駙馬國王과 國王丞相 : 13-14세기 麗元관계와 고려왕조 國體 보존 문제 이해를 위한 새로운 모색」, 『대구사학』110권 0호, 대구사학회, 2013.
· 최종석, 「1356(공민왕 5)~1369(공민왕 18) 고려 - 몽골(원) 관계의 성격: ‘원 간섭기’와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역사교육』116, 역사교육연구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