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가족계획사업
- 최초 등록일
- 2018.11.12
- 최종 저작일
- 2017.08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① 현황
② 피임방법
a. 피임의 조건
b. 피임법의 분류
본문내용
① 현황
- 우리나라의 인구정책
: 1960년대 초부터 국가개발계획의 일환
범정부적 차원에서 출산억제 위주로 추진되어옴
: 1988년 : 인구 증가율 1%미만, 합계출산율 2.1%이하로 저하됨
→ 인구증가 억제를 조기에 달성
따라서 정부는 1989년부터 정부 피임보급 물량의 축소+ 정부 가족계획사업의 방향을 전환
② 피임방법
a. 피임의 조건
- 피임은 목적에 따라 자신에게 가장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 이상적인 피임 조건
: 효과성, 수용성, 복원성, 경제성, 간편성, 안정성
* 효과성 : 피임효과가 확실해야 한다.
* 수용성 :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어야하며 성감에 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
* 복원성 : 피임의 영향이 일시적이어서 만약 피임을 하고 있는 중이라도 임신을 원할 때
언제든지 중지하면 임신이 가능하여야 한다.
* 경제성 : 비용이 적게 들어야 한다.
* 안정성 : 사용하는 동안 부작용이 없어야 한다.
피임에 실패하여 임신을 하더라도 태아에게 해가 없어야 한다.
* 간편성 : 사용하기 편리하며 사용방법이 쉬워야 한다.
b. 피임법의 분류
- 일시적 피임법 : 먹는 피임약, 파단 피임법, 자궁 내 장치, 성교중단법, 자연피임법 등
- 영구적 피임법 : 남성 불임숙, 여성 불임술
가. 일시적 피임법
피임법의 각각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먹는 피임약
- 먹는 피임약에는 인공적으로 합성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포함
- 에스트로겐 : 여성의 성장호르몬으로서 월경주기 중 전반부에 작용
자궁내막을 비후시키고 자궁목의 점액량과 점도에 변화를 주는 역할
- 프로게스테론 : 모성호르몬으로서 수정란의 착상과 임신을 지속하기 위한 기능
- 이 호르몬들의 양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FSH 호르몬의 분비를 억압
→ 난소에서의 배란을 방해하는 것 : 경구피임약의 작용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