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조사론
- 최초 등록일
- 2018.10.30
- 최종 저작일
- 2018.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600원

판매자BB
12회 판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장점 및 예
(1) 직접적으로 자료를 수집하므로 현상이나 과정이 일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수집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설문조사나 미리 준비된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는 것보다 덜 오염된 자료 수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면접법에서는 면접자의 행동이나 태도가 연구결과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질문지법 역시 당장에 일어나는 행동 그 자체가 표적대상이 아니 기 때문에 응답 반응에는 이미 문화적 편견이나 기대, 본인의 생각, 성품 등이 가미된 응답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관찰법은 어떤 표적 행동이든 실제 장면 속에서 혹은 활동과정에서 직 접 파악하게 됨으로 관찰조사 그 자체에는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비언어적 자료를 수집할 수 있어 아동이나 장애인, 동물 등 언어적 의사소통이 어려운 대 상을 조사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령이나 혹은 사회현상의 환경적 제한에 구 애 됨이 없이 연구가 가능하다.
참고 자료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2007.
김기원. 『사회복지조사론』. 나눔의집. 2009.
한승준. 『사회조사방법론』. 대영문화사. 2000.
양성관·김진수 외 저. 『사회복지조사론』. 정민사. 2014.
김태성 저. 『사회복지조사론』. 청목출판사. 2012.
채구묵 저.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양서원. 2013.
James P.Spradley. 『참여관찰법』. 시그마프레스. 2006
유기웅·정종원.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스토리. 2018
김아영. 『관찰연구법』. 교육과학사.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