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gmoid colon cancer(S상결장암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과정 5개씩
- 최초 등록일
- 2018.09.03
- 최종 저작일
- 2018.08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500원

판매자1004 (본인인증회원)
29회 판매

소개글
성인간호학임상실습 케이스스터디 A+자료입니다. Sigmoid colon cancer(S상결장암)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5개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II.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III. 결론
1. 연구결과
2. 느낀 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최근 서구적으로 변한 식이로 인해 동물성 지방과 육류, 튀김 등의 섭취가 증가 하면서 연스럽게 대장암, 특히 결장암의 발병률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결장암은 직장암보다 발견과 치료가 어려우며 조기 검진이 필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결장암 환자는 2010년 6만5102명에서 2016년 8만4689명으로 약 30.1%가 증가했지만, 직장암 환자는 4만5311명에서 5만1373명으로 13.4% 증가하는데 그쳤다. 직장암 대비 결장암 환자 비율도 2010년 1.44배에서 2016년에는 1.65배까지 격차가 벌어졌다. 문제는 결장암이 직장암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위험하다는 것이다. 직장암은 항문 인근인 직장에 종양이 발생하여 조기 발견이 쉽다. 과거에는 수술 과정에서 항문이나 생식기를 제거해야 할 정도로 수술 난이도가 높았지만, 최근 의료 기술 발달로 치료가 한결 쉬워졌다. 반면 결장암은 소장과 연결된 부위여서 상대적으로 발견이 어렵고 복막과 기타 장기 등이 가까워 암 전이가 쉬워 위험도가 높다. 이러한 이유로 S상 결장암을 케이스로 잡고 연구를 하려고 한다.
Ⅱ. 본론
1. 문헌고찰
1) 결장과 직장의 암
장관에서 발생하는 원발성암으로는 대장암, 직장암이 흔하다. 암이 결장이나 직장에 한정되어 있으면 5년 생존률이 90% 이상이지만, 주위 조직으로 퍼지면 65%, 원거리 전이가 되면 8%까지 감소한다. 따라서 조기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50세 이후 S자결장경검사나 대장내시경을 권장한다. 결장암은 직접 전파되거나 림프계나 순환계를 통해 퍼진다.
(1) 병태생리와 원인
결장암은 유전적 소인과 상관관계가 있다. 연구에 의하면 유전자 변형이 결장직장암 발생과 관련이 있으며, 염색체 5, 17, 18의 대립형질의 삭제가 정상 세포를 악성세포로 변이시킨다.
선용성 용종은 염색체 5번의 돌연변이의 결과로 생기며, 가장 흔히 결장직장암으로 발전하는 전암성 조직이다. 관상, 융모상, 관상융모상, 선종성 용종의 3종류가 있다.
참고 자료
김조자 등(2017).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조경숙 등(2014). 성인간호학 제6판. 현문사
김조자 등(2012) 간호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현문사
김금순 등(2016). 성인건강간호학1,2. 수문사.
장성옥 등(2015). 기본간호학 이론서. 군자출판사.
김조자 등(2012).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현문사.
성미혜 등(2015).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